[지금, 이 영화] 고흐, 영원의 문에서

빈센트 반 고흐는 오늘날 신화의 주인공이 됐다. 생전 단 한 점 팔렸을 뿐인 그의 그림은 이제 전작(全作)이 값비싸게 거래되고, 그의 삶을 다룬 다양한 콘텐츠는 지금도 활발히 만들어지고 있다. 후대에 이러리라 1800년대 사람들은 거의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고흐 본인을 포함해서 말이다.

그런데 그가 집중 조명을 받는 흐름이 꼭 좋은 쪽으로만 가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없었던 일은 아니지만 고흐를 자기 귀를 자른 광인, 불운한 천재로만 아이콘화하는 탓이다. 자주 그것은 그가 그토록 경계한 “거짓 위로”(1883년 12월,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그치고 만다.

예컨대 저스틴 에드거 감독의 단편 영화 ‘붉은 바보’(2016)가 그렇다. 이 작품은 고흐가 자신을 신화화한 지금 이 시대를 본다면 행복하게 눈을 감으리라는 이야기로 귀결된다.

설마 그럴 리가. 이는 그에게 건네는 거짓 위로에 지나지 않는다. 진짜 위로를 하려면 고흐의 신화 자체를 탈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그를 둘러싼 풍문 대신 온전히 그의 예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뜻이다.

고흐는 800점이 넘는 그림을 남긴 성실한 화가였다. 그림을 열심히 그리기만 한 것이 아니다. 주로 자연을 화폭에 담았던 그는 “사라지는 것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것”(1885년 2~3월, 테오에게 보낸 편지)을 포착하려 애썼다. 고흐는 무엇을, 어떻게, 왜 그려야 하는지를 늘 의식한 창작자였다.

‘고흐, 영원의 문에서’는 이런 그를 형상화했다. 광인 혹은 천재로만 소비되는 고흐가 아니라 집안에서도 집 밖에서도 매일 작업에 몰두했던 화가 고흐를 부각한 것이다. 이를 강조하려는 듯 영화는 고흐(윌럼 더포 분)의 1인칭 시점을 빈번하게 사용한다. 관객은 그때마다 그가 되는 체험을 한다.

고흐가 프랑스 아를을 누비며 하늘의 다채로운 색과 바람의 질감을 느끼는 순간을 함께 체감한다. 이 같은 공명을 추구하는 방식은 고흐에 대한 연출가의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했다. 영화감독이면서 신표현주의 화가이기도 한, 줄리언 슈나벨은 고흐의 걸작이 완성돼 가는 과정을 마냥 신비화하지 않는다.

그가 해석한 고흐는 낭만주의 예술가라기보다 근면한 노동자에 가깝다. 실제로 대부분의 예술은 부지런한 노동을 바탕에 두지 않고서는 탄생할 수 없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고흐가 번뜩이는 영감에만 의지하는 작가였다면 어땠을까. 그가 그린 그림의 가치가 재발견되는 우연이야 발생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폭발력과 지속성을 갖지 못하고 금세 사그라졌으리라. 내 그림은 죽지 않는다던 고흐의 믿음은 그런 점에서 근거가 있었다.

영화에서 고흐는 말한다. “편평한 풍경을 마주하면 내겐 영원만이 보인다.” 그는 영원에 곧바로 도달하는 요행을 바라지 않았다. 보이는 대로 계속 그려 고흐는 영원의 문 앞에 서고자 했다. 꾸준함이 지름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