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 한석규

다시 세종 역에 대한 제의가 들어온다면, 한석규는 어떻게 할까. “제가 그를 바라보는 시선이 없으면, 하면 안 되죠. 돈 때문에 해야 하나? 그럴 수도 있지만, 그러면 그게 두렵죠.”<br>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세종을 두 번 연기하면서 배우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배우 한석규(56)는 2011년 SBS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 이어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에서 또 한 번 세종 역을 맡았다.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기자들과 만난 한석규는 자신의 ‘세종관’을 촘촘하게 펼쳐냈다. 같은 인물을 두 번 연기하는 이유에 대해, 스스로도 납득이 필요했다. 마흔 즈음에 ‘나를 벗어난 액트(연기)는 불가능하다, 나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게 액트’라고 생각했다는 그는 자신에 기초해 인물을 재정립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뿌리 깊은 나무’ 때는 세종이 가진 상상의 원동력이 ‘강한 아버지’ 태종에게서 기인한다고 봤지만, 이번에는 어머니인 원경왕후 민씨에 주목했다.

나이 쉰이 넘어 자신의 연기 기원을 어머니에게서 찾은 것처럼 세종이라는 인물의 원천도 결국은 원경왕후에게서 왔다고 본 거다. 원경왕후는 왕권 강화를 내세웠던 태종에 의해 멸문지화를 당했던 인물이다. “뿌리 깊은 나무 때는 ‘절대 (사람을) 죽이지 말아야지’ 하고 생각했다면 이번에는 어떻게 하면 한 사람이라도 더 살릴 수 있을까를 골몰했어요.” 원경왕후의 아픔에 집중해, 포커스가 ‘사람 살리기’였다는 얘기다.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
‘천문’은 ‘봄날은 간다’(2001)의 허진호(57)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오랜 지기인 최민식(58)·한석규가 재회한 영화다. 관노로 태어나 종3품 대호군이 된 천재 과학자 장영실과 그의 뒷배였던 세종. 20년간 꿈을 함께했던 그들이었지만 임금이 타는 가마인 안여(安與)가 부서지는 사건 이후 문책당한 장영실이 다시는 기록에 등장하지 않는 데서 영화는 가지를 뻗어간다.

‘쉬리’ 이후 20년 만에 다시 뭉친 대학(동국대 연극영화학과) 선배 최민식과는 어려웠던 시절부터 동고동락했다. 틈만 나면 머리를 맞대 “1000만원 생기면 뭐하지?”를 궁리했던 사이. “그 형님은 불이고, 나는 물이에요. 그 형님은 활활 계속 뭔가를 태워야 하는 사람이고, 저는 모아야 되는 사람이거든요.” 서로를 너무 잘 아는 ‘불’과 ‘물’은 이제 ‘척하면 척’이다.

“탁구로 표현하면 내가 이렇게 ‘탁’ 하면 형이 ‘아쭈구리’ 하는 거죠. 형이 갑자기 탁구대를 엎으면? 나는 위에 올라가서 춤을 출 수도 있어요. 그 형이 왜 탁구대를 엎는지 아니까.” 그렇게 장영실과 세종이 궁궐 후원에 벌러덩 누워서 별을 보는 장면, ‘안여 사건’으로 옥에 갇힌 장영실과 따로 만나는 장면 등은 두 사람이 현장에서 합심해 만든 아이디어다. 애틋한 눈빛 덕분에 ‘케미’를 넘어 멜로 논란(?)도 생겼다.

8년 전 ‘뿌리 깊은 나무’에서 육두문자를 남발하는 인간적인 세종을 연기했던 한석규. ‘천문’에서는 보다 정교한 여우에 가까운데, 딱 한 번 명나라에 굴종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지위를 위협하는 대사헌(김태우 분)을 향해 육두문자가 튀어나온다. “세종에 대해 어머니로 접근한 결과는 그런 욕을 쓰는 사람이 아니거든요. 그런데, 그 신을 찍는데 그 인물에 대한 적개심이 팍 터져 나오더라고요. 방아쇠로 한 번 당긴 건데 그게 얻어걸렸네.” 역시나, 그게 하이라이트였다.

인터뷰의 끝, 다시 최민식과 연기한 소감을 물어봤다. “저는 쓸쓸한 기분을 느낄 때 좋아요. 해 뜰 때보다 해가 질 때, 그림자가 오면 모든 사물의 음영이 또렷해지잖아요. 이번에 민식이형이랑 작업을 하는데, 꽤 쓸쓸한 기분이 들더라고요.” 소싯적의 바람대로, 1000만원도 벌어봤고 1억원도 벌어봤지만 그게 다가 아님을 알게 된 나이. 사물의 음영마저 포용하게 되는 즈음에, 그 시절 그 동료와 재회한 것이 특별한가 보았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