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법인으로 독립 100일 TBS 이강택 대표

KBS PD 출신인 이강택 TBS 대표는 서울시 소속 사업소에서 미디어 재단 법인으로 태어난 교통방송(TBS)에 대해 라디오보다 약한 TV의 인지도를 강화하는 걸 숙제로 꼽았다.<br>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KBS PD 출신인 이강택 TBS 대표는 서울시 소속 사업소에서 미디어 재단 법인으로 태어난 교통방송(TBS)에 대해 라디오보다 약한 TV의 인지도를 강화하는 걸 숙제로 꼽았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진행자 김어준씨의 기여를 보면 출연료 논란은 ‘과잉 상징’입니다. 다만 ‘뉴스공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장기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다양성 차원에서 새로운 시사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미디어 시장 변화를 주도하겠습니다.”

서울시 소속 사업소였던 교통방송(TBS)이 지난 2월 미디어 재단 법인으로 독립한 지 26일로 100일을 맞는다. 개국 30년 만에 홀로서기의 첫발을 뗀 이강택 대표는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TBS 사옥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내부 비효율을 줄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여 시민을 위한 공영 미디어로 자리잡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TBS는 독립 이후 조직 개편부터 팔을 걷었다. 임기제 공무원과 비정규직으로 구성된 기존 조직은 직급이 세분화되고 위계적이어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봐서다. 이 대표는 “우선 조직을 좀더 유연하게 만드는 데 신경 쓰고 있다”면서 “전체 인원의 3분의1이 관리직인데 한 직급을 없애 이들이 현장에서 일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뉴미디어 등 큰 틀의 계획을 짜는 전략기획실도 신설했다. 이승훈 전 EBS 콘텐츠사업본부장과 박대용 전 뉴스타파 기자가 각각 전략기획실장과 뉴미디어 팀장으로 오는 등 외부 인력도 수혈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부족했던 역량을 채우면서 유튜브 구독자 급증(86만명)과 총선 개표방송 흥행으로 이어졌다”고 자평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도 큰 변화다. 재단 출범과 동시에 기존 비정규직을 대거 공개 채용해 오는 6월까지 직원 350명의 정규직화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방송사로는 처음으로 작가도 일부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시민의 방송을 내걸고 공공성을 지향하려면 내부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봤다”는 게 이유다.

그러나 이런 ‘실험’에는 재정이 필수요소다. 500억원 규모의 예산 중 80%를 서울시에서 충당해 온 TBS는 여전히 시 출연금에 의존하고 있다. 상업광고를 통한 수익 확보도 불가능하다. 그는 세종문화회관 등 서울시 17개 출연기관과의 협력 사업, 시민 제작 프로그램 확대를 대안으로 본다. 그는 “좋은 방송을 만들고 시민들이 구독료를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편향성 논란 극복도 과제다. 최근 서울 수도권 라디오 청취율 1위에 오른 ‘뉴스공장’은 지나치게 정파적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특성이 확실한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편파성을 해소할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면서 “다양성은 채널 단위에서 구현해야 하는 것으로 본다”고 했다. 진행자 김어준씨의 출연료가 너무 많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의 기여도나 시장 평가에 비해 많은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수신료를 받는 다른 공영방송 역시 높은 출연료를 지출하는데 김씨 사례가 부각되는 것은 과잉 상징”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뉴스공장’ 쏠림을 완화할 ‘준킬러 콘텐츠’의 필요성을 느낀다”며 올가을이나 늦어도 연내에 새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고 했다. 그는 “기존 매체가 담지 못하는 지역성과 시민 참여에 TBS만의 자리가 있다”며 “미디어 시장에 긍정적 변화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