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마틴 에덴’

1991년 한국에 번역 출간돼 지금은 절판된 잭 런던의 소설 ‘마틴 에덴’(1909)을 기억하는 독자는 많지 않을 것 같다. 주인공은 어린 시절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고 여러 육체노동을 전전하며 청년이 된 마틴 에덴이다. 어느 날 그는 두 가지 대상에 매혹된다. 하나는 사람, 다른 하나는 꿈이다. 둘 다 성취하기 쉽지 않다. 마틴이 반한 사람은 그와 처지가 상반된 상류 계급 여성이다. 그녀는 경제적 자산이 풍족하고 문화적 교양도 풍부하다. 두 사람의 조건이 꼭 맞아야 사랑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두 사람의 조건이 너무 다르면 사랑을 이루기가 그만큼 어려워진다. 이것이 사람에게 매혹되었으므로 그가 해결해야 하는 첫 번째 과제다. 마틴이 품은 꿈은 그동안 그가 살았던 삶과는 전혀 관련 없는 낯선 직업을 택하겠다는 것이다. 다름 아니라 그는 소설가가 되겠다는 열망에 사로잡힌다. 자기의 정리되지 않은 생각과 혼란스러운 감정을 세밀하게 언어화하는 기쁨을 알았기 때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어휘가 빈곤하고 문법은 엉망이지만 마틴은 습작을 멈추지 않는다. 그러나 그가 소설가가 될 수 있을지, 된다고 해도 그 길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것이 꿈에 매혹되었으므로 그가 해결해야 하는 두 번째 과제다. 마틴이 두 개의 과제를 어떻게 풀어 나가는지, 결말은 무엇인지 여기에서 밝힐 수는 없다. 그래도 힌트 하나를 언급할 수는 있겠지. ‘마틴 에덴’이 잭 런던의 반(半)자전 소설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 과제의 결과는 이토록 명백하다. 이를 동명의 영화로 만든 피에트로 마르첼로 감독은 원작의 19세기 후반 미국 배경을 20세기 중반 이탈리아로 옮겼다. 배경만 달라진 게 아니다. 전개와 결론도 바꿨다. 그는 원작을 그대로 번역하지 않고 세련되게 번안해, 소설과 비슷한 것처럼 보이면서도 영화로서의 독특성을 갖는 새로운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런 한에서 봉준호 감독이 공식 지면을 통해 영화 ‘마틴 에덴’을 극찬하고 마르첼로를 향후 행보가 기대되는 차세대 감독으로 선정한 이유도 납득이 된다. 또한 분명한 건 그가 본인만의 입지를 구축하려는 대담한 시도를 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마르첼로는 시에서 쓰이는 객관적 상관물(인물의 정서를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빗대어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영화에 도입했다. 그는 ‘마틴 에덴’과는 관계없는 실제 과거 필름들의 장면을 편집해 넣어 인물의 심경을 드러내는 기법으로 활용한다. 예컨대 마틴이 누나와 대화를 나누며 옛날을 회상할 때, 소녀와 소년이 손을 맞잡고 흥겹게 춤을 추는 화면을 짧게 보여 주는 식이다. 그의 의식 흐름에 따라 관객은 현실과 허구가 겹쳐진 이중의 영화적 시간을 체험한다. 잭 런던 소설을 마르첼로는 영화 내용보다 형식으로 주제화했다. 참신한 스타일리얼리스트의 솜씨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