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레 미제라블

영화 ‘레 미제라블’
“무지와 빈곤이 존재하는 한, 이 책이 무익하지는 않으리라.” 1862년 소설 ‘레 미제라블’을 발표한 빅토르 위고는 서문에 이렇게 썼다.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진 제목처럼 이 책은 장 발장이나 팡틴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프랑스 빈민층에 속하는 불쌍한 사람들의 면면을 그려 낸다. 물론 이것이 이 작품에서 다루는 주제 전부는 아니지만 오늘날에도 이 점은 여전히 중요하다. 예나 지금이나 무지와 빈곤 등이 사라지지 않아서다. 그런 문제의식을 담아 레주 리 감독은 영화 ‘레 미제라블’을 완성했다.

소설과 제목이 같지만 내용이 같진 않다. 레주 리는 21세기 프랑스의 불쌍한 사람들을 포착한다. 단 주요 배경인 파리 외곽에 위치한 몽페르메유는 동일하다. 여러 이민자가 모여 사는 이곳은 낙후 지역이자 우범 지대로 알려졌다. 레주 리 본인이 이민자로서 여기에서 성장했다. 그는 자신이 보고 듣고 느낀 체험을 바탕으로 영화의 뼈대가 되는 에피소드들을 만들었다. 그중 하나가 경찰들의 불심검문이다. “열 살 때 나는 불심검문을 처음 당했다.” 레주 리 스스로 밝힌 사실이다.

불편한 진실은 그가 몽페르메유가 아닌 부유촌인 파시에 살았다면, 흑인이 아닌 백인이었다면, 불심검문과는 전혀 상관없는 유년기를 보냈으리라는 점이다. 경제력과 인종 차이는 단순한 다름이 아니다. 정치적 차별을 야기하는 구별 짓기다. 이 영화는 몽페르메유를 담당하는 세 명의 경찰을 등장시켜 이 같은 실상을 드러낸다. 적당한 야합과 강압적 군림이 그곳을 통치하는 정의라고 믿는 두 명의 기존 경찰과 그것은 타락한 정의에 불과하다고 여기는 한 명의 전입 경찰이다.

후자에 아무래도 너그러운 눈길이 머문다. 그렇지만 그가 자기 신념에 따라 행동하기는 쉽지 않다. 늘 잠재적 범죄자 취급을 받는 몽페르메유 아이들 눈에도 그는 달리 보이지 않는다. (상관의 명령으로) 기존 경찰들과 한 조를 이뤄 다니는 까닭이다. 부패하고 부당한 권력을 행사하는 무리를 향한 아이들의 적대에 그 역시 포함된다.

어째서 이런 말을 하는가 하면, 영화 후반부는 차곡차곡 쌓인 아이들의 분노가 한꺼번에 폭발하는 장면으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그들은 나쁜 어른들을 응징하는 앙팡 테리블, 곧 무서운 아이들로 변모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원작 ‘레 미제라블’에도 유사한 역사적 사례가 나온다. 뮤지컬과 영화 버전에서는 민중의 노래가 불리는 1832년 6월 봉기다. 시민 권리를 억압하는 왕정에 저항해 젊은 공화주의자들이 일으킨 항쟁에 코제트의 연인 마리우스도 동참한 바 있다. 봉기가 모든 것을 바꾸지는 못한다. 하지만 봉기는 현재 우리 사회가 뭔가 큰 잘못을 저지르고 있고, 그로 인한 피해자들과 동조자들이 결코 가만있지 않을 것이며, 당신도 얼마든지 거기에 휘말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특권의식에 기반한 폭력이 존재하는 한, 이 영화도 무익하지는 않으리라.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