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의 왜곡된 인식은 일왕의 성스러운 결단에 의해 전쟁을 끝내게 됐다는 ‘종전 조서’에서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 고도의 정치전략 아래 몇 날 며칠에 걸쳐 40여 군데나 고쳐 만들어진 종전 조서….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프로그램에선 800자 안에 숨겨진 종전 조서의 비밀을 파헤친다.
일본인들이 종전 조서라 부르는 항복 선언문에는 ‘패전’ ‘항복’이라는 말이 없다. 종전의 명분이 된 원폭 투하와 그로 인해 입은 피해만 국민들에게 기억될 뿐이다.
요시다 유타카 일본 히토쓰바시대학원 교수는 “종전 조서는 국민을 구하기 위해 일왕이 전쟁 종결을 결단했다고 하는 ‘성단’ 신화를 만드는 원형”이라고 말한다. 전쟁이 히로히토의 ‘성단’으로 끝났다면 왜 그 ‘성단’으로 전쟁을 미리 막지 못했을까.
일왕의 전쟁 책임을 면하기 위해 종전을 앞두고 궁에선 은밀한 작업이 벌어졌다. 비밀리에 진행된 종전 지연은 수많은 사람들을 참혹한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 그럼에도 일본인들은 히로히토를 국민을 전쟁에서 구한 위대한 평화주의자로 기억하고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