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자본주의 사회는 낙원일까” 80년대 동독 女의사의 물음

21세기를 맞아 독일 영화의 풍경이 흥미롭다. ‘굿바이 레닌’ ‘몰락’ ‘타인의 삶’ ‘카운터페이터’ ‘바더 마인호프’ 등이 국제적인 성공을 맛보고, 그 여파로 독일 출신 감독들이 할리우드에 진출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독일영화를 이끌던 작가의 기운이 사라졌다고 여겨질 즈음, ‘베를린파’로 불리는 새 세력이 등장한 것이다. 크리스티안 펫졸트, 울리히 쾰러, 마렌 아데로 대표되는 베를린파는 한동안 무시당했던 독일영화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작품을 왕성하게 쏟아내는 중이다. 베를린파의 1세대에 해당하는 펫졸트는 근래에 발표한 일련의 드라마와 스릴러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2012년 베를린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바바라’는 대상인 황금곰상 수상작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었다.

1980년대의 동독. 자유를 갈망하는 여의사 바바라는 무슨 이유에선지 정부의 미움을 산 인물이다. 베를린에서 시골의 작은 병원으로 좌천당한 그녀는 깍쟁이 소리를 들으면서도 냉기 서린 감정을 풀지 않는다. 그녀의 냉랭함과 무관심을 괘씸하게 여긴 비밀경찰은 그녀의 일상을 감시하고 압박한다. 바바라는 서독에 사는 부유한 애인의 도움을 받아 서방국가로 탈출하는 꿈만으로 현실을 버틴다. 그런 그녀에게 마음씨 따뜻한 동료 안드레가 다가오고, 수용소에서 매번 탈출하는 소녀와 사랑의 실패로 자살을 시도한 소년이 그녀의 닫힌 마음을 조금씩 움직인다.

‘바바라’는 펫졸트의 전작에 비해 대중적이지만, 통제사회를 단순히 비판하거나 선정주의에 빠져 눈물과 감동을 쥐어짜는 작품은 아니다. 대중영화로서 당연히 가야 하는 길을 낯설게 가는 방식, 거기에 펫졸트 영화의 매력이 숨어 있다. 예를 들어 그의 대표작 ‘옐라’와 ‘제리코’는 ‘영혼의 카니발’, ‘강박관념’ 같은 고전영화를 뒤튼 영화이면서도 평범한 장르영화와는 다른 지점에 머문다. 펫졸트는 공간의 힘을 전달하는 데 탁월하다. 바바라가 돈을 숨기려 자전거를 몰 때, 강한 바람과 스산한 날씨와 쓰러질 듯 누운 나무가 불안한 심리를 대변한다. 반대로 주변 사람이 베푼 온정은 바구니에 담긴 소박한 채소들로 간략하게 표현된다. 시간과 공기의 무게와 자연의 표정이 배우의 신체 만큼 뛰어나게 연기한다는 것을 펫졸트는 안다.

펫졸트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들로 인물을 구성한다. 그리고 보통 사람들의 소소한 이야기 속에서 큰 주제를 찾도록 유도한다. 정치영화에서 벗어나 있지만, 정치적인 영화로 읽히는 건 그래서다. 그의 영화마다 느껴지는 것 중 하나는, 은밀하게 드리운 동독의 그림자다. ‘돈이 없으면 사랑도 없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언제나 배치함으로써 ‘자본주의가 곧 행복이라는 이상한 믿음’으로 이뤄진 통일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이상향과 진짜 행복에 대한 열망으로 인간이 인간다워진다고 믿는 그의 영화는 먼 길을 우회해 고전적인 세계로 들어선다. 그런 까닭에 익숙하지 않으나 편안하다. 정화를 거친 바바라의 마지막 눈빛은 영화사의 한순간을 빚는다. ‘바바라’는 그룹 ‘쉬크’의 옛 노래 ‘마침내 나는 자유롭네’로 끝을 맺는다. 변하지 않는 삶에 자유는 없다. 문제를 만드는 것과 결과를 만드는 것. 모두 인간의 손과 머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들이다. 21일 개봉.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