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퍼는 텅빈 공간과 빛의 대조를 통해 일상의 단면을 담담하게 화폭에 담은 화가로, 특히 20세기 현대인들의 고독감이나 상실감을 잘 표현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감독은 ‘호텔 룸’(1931), ‘룸 인 뉴욕’(1932), ‘모닝 선’(1952), ‘인터미션’(1963) 등 작가의 그림을 모티브로 삼아 에피소드와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한편의 영화로 만들었다. 감독은 영화 속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여인을 셜리라고 이름 붙이고 그녀를 통해 1930년부터 1960년대까지 격변하는 미국 사회상을 담아낸다.
구스타브 도이치 감독은 이 영화에서 명화나 역사적 장면을 정지 화면처럼 연출하는 일명 ‘타블로 비방’이라는 새로운 연출 기법을 도입했다. 불어로 ‘살아 있는 그림’이라는 뜻으로, 감독은 그림과 똑같은 세트를 만들어 배우가 그 안에서 연기하도록 했고, 그림 속 인물이 생명체처럼 움직이는 효과를 줬다.
극중 셜리는 라디오를 즐겨 듣고 영화와 연극 보는 것을 좋아하는 배우다. 하지만 어느 날 매카시즘 광풍이 불어닥치면서 그녀가 속한 그룹 시어터는 여러 사회 이슈들과 얽혀 서로를 배신하는 동료들이 생겨나게 되고 셜리 역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그만둬야 할 위기에 처한다.
작품은 이처럼 단순히 회화의 재해석을 넘어 사회와 개인이라는 관계에 주목한다. 감독은 사회의 격변 속에서 개인의 운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반대로 개인의 삶이 어떻게 역사를 이루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1930~1960년대 미국의 주식시장 붕괴와 대공황, 제2차 세계대전, 존 F 케네디 암살, 마틴 루서 킹의 인종차별 항쟁 등 사회적 이슈와 엘비스 프레슬리와 록앤드롤, 밥 딜런 등 문화적인 이슈가 등장하고 역사적 흐름에서 자유롭지 못한 셜리의 모습을 통해 역사 속 개인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미술과 영화의 조화라는 점에서 기존의 뻔한 영화 문법에 질리고 그림 보는 것을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색다른 문화 경험이 될 수 있겠다. 하지만 다소 분절되고 느린 스토리 전개 때문에 지루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