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가 배에 갇혀 대서양 너머로 끌려가고 있음을 알아챈 할머니는 브루노와 같이 추격을 시작한다. 그렇게 수자는 낯선 도시 벨빌에 오게 된다. 그곳에서 그녀는 재즈를 연주하는 늙은 세쌍둥이 자매와 우연히 만나게 된다. 수자와 음악으로 마음이 통한 세쌍둥이는 그녀를 자신들의 집으로 초대한다. 진공청소기·냉장고·신문지 등 실생활에 쓰이는 물건을 악기로 활용하는 스톰프(stomp) 공연을 함께하면서 수자와 세쌍둥이는 친해진다. 그리고 그들은 챔피언을 구하기 위한 작전에 돌입한다. ‘벨빌의 세쌍둥이’가 이런 서사를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방식과 패러디 기법은 낯선 영화적 체험이 될 법하다. 주로 일본 애니메이션의 화풍과 작법에 익숙한 한국 관객으로서는 더 그렇다.
하지만 양식적 차이에서 오는 새로움이 이 영화가 가진 매력의 전부는 아니다. ‘벨빌의 세쌍둥이’는 손자를 위해서라면 초인이 될 수 있는 할머니의 이야기이면서, 스톰프처럼 삶에 바탕을 둔 리듬으로 연대한 여성들이 남성 악당들을 물리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작품에서 남성은 두 부류로 나뉜다. 무기력하거나(챔피언) 나쁘거나(마피아). 반면 여성―수자와 세쌍둥이는 무엇인가를 창조하고 불의에 항거한다. 이를 범상하게 보아 넘겨서는 안 될 것 같다. 페미니즘은 오늘날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혁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이다. 이제 그것이 더 많이 더 크게 목소리를 내야 하는 시기다. 이 영화는 한국에 마침맞게 도착했다. 27일 개봉. 12세 관람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