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아마는 숭고함과 천박함으로만 수렴될 수 없는 실제 여성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그녀의 작품에서 여성 인물은 기능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감정적으로 생동한다. 첫 장편 영화 ‘워터 릴리스’부터 그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명의 10대 소녀가 주인공이다. 마리(폴린 아콰르 분)는 친구 안나(루이즈 블라쉬르 분)가 출전하는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경기를 보러 간다. 그렇지만 마리의 눈을 사로잡은 사람은 안나가 아니다. 우아하고 절제된 동작을 펼치는 플로리안(아델 에넬 분)이다. 플로리안에게 매혹을 느낀 마리는 그 뒤 그녀 곁을 맴돈다. 안나도 마음에 품은 상대가 있다. 수영부원 프랑수아(워런 재킨 분)다.
문제는 그가 플로리안과 사귄다는 데 있다. 여기까지 들으면 남자를 중심에 둔 삼각관계와 갈등이 이 영화의 주된 내용이겠거니 짐작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워터 릴리스’는 그런 치정극과 무관하다. 프랑수아의 비중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앞서 밝혔듯 이 작품의 주인공은 세 명의 10대 소녀다. 마리플로리안안나가 삼각관계의 각 꼭짓점이다. 사랑과 우정, 동경과 질투, 비밀과 거짓이 이들 사이를 교차한다. 때로는 착하고 나쁘게, 그리고 이보다 자주 착하지도 나쁘지도 않게 말하고 행동한다. 파악하기 쉬운 한 가지 정체성으로만 그들은 고정되지 않는다. 여성 인물의 입체성은 이렇게 구성된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