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죽이는 24명의 생존경쟁… CG 뺀 판타지 리얼액션
‘헝거게임:판엠의 불꽃’(이하 ‘헝거게임’)은 이처럼 다소 끔찍한 발상에서 시작된 판타지 영화다. 모든 것이 무너진 뒤 폭력과 힘이 지배하는 무정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신비한 마법이나 초능력 등을 등장시키는 기존의 판타지물과는 궤를 달리한다. 오히려 TV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앞세워 현실성을 띠면서도 기괴한 분위기를 풍긴다.
‘헝거게임’이란 독재국가 판엠이 혁명을 견제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생존 전쟁이다. 12개 구역에서 추첨으로 두 명씩 선발된 총 24명의 소년·소녀들은 최후의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싸워야 한다. 이들의 사투는 TV로 생중계되고 12곳의 빈곤 지역 주민들도 긴장 속에 이들의 게임을 지켜본다.
동명의 판타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일단 ‘헝거게임’이라는 설정을 통해 독특함과 흥미를 유발시킨다. 이 속에서 동생을 대신해 참가를 자청한 여주인공 캣니스(제니퍼 로렌스)의 서바이벌 스토리 역시 긴장감 있게 펼쳐진다.
이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참가자들의 처절한 생존 경쟁이 진행자까지 갖춘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형태로 방송된다는 점. 판엠의 수도 캐피톨에서는 마치 이들의 목숨을 건 사투를 하나의 오락 게임처럼 흥미롭게 바라본다. 이는 요즘 국내에서도 유행하는 TV 서바이벌 프로그램과 흡사하다. 무엇보다 현실을 손쉽게 조종하는 이들은 냉혹한 무한 경쟁에 내몰린 현대인들의 자화상과 자본주의 논리로 강대국에 휘둘리는 약소국의 비애를 떠올리게 한다.
‘헝거게임’은 분명 화려한 컴퓨터그래픽(CG)을 내세운 판타지 영화는 아니지만 리얼리티를 살리는 방식으로 차별성을 뒀다. 영화 속 독재 국가 판엠은 과거 러시아의 붉은 광장과 부란덴부르크문의 분위기를 살린 고전 건축 양식으로 사실적인 면을 강조했고, 액션 장면도 다양한 무기와 신체를 활용한 액션으로 리얼리티를 살렸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