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만 3편 3D로 바꿔 줄줄이 성공…새달 7일 ‘몬스터 주식회사 3D’ 개봉
2009년 디즈니는 토이스토리 1, 2편을 묶어 3D로 재개봉했다. 북미에서 3228만 달러(약 347억원)을 빨아들였다. 가능성을 확인한 디즈니는 2011년 ‘라이온 킹 3D’를 내놓았다. 개봉 첫주 ‘컨테이젼’과 ‘드라이브’ 등을 따돌리고 박스오피스 1위. 결국 9424만 달러(약 1013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재활용’에 맛을 들린 디즈니는 지난해에만 3편을 3D로 만들었다. ‘미녀와 야수’(4761만 달러·약 512억원), ‘니모를 찾아서’(4112만 달러·약 442억원), ‘몬스터 주식회사’(3210만 달러·344억원)까지 줄줄이 성공을 거뒀다.
‘토이스토리’와 더불어 픽사애니메이션스튜디오(2006년 디즈니에 합병)의 개국공신 격인 ‘몬스터주식회사’가 새달 7일 3D로 국내 개봉된다. 2001년 전 세계에서 5억 6087만 달러(약 6027억원)을 빨아들여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 7위에 오른 유령들이 12년 만에 귀환한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3D로 만들기를 잘했다. 지금껏 픽사 캐릭터 중 가장 사랑스러운 털복숭이 괴물 ‘설리’는 3D에서 물을 만났다. 설리가 인간 아이 ‘부’를 만지거나 다른 물건을 스쳐 지나갈 때 3200만개의 털은 한올 한올 살아 숨쉰다. 히말라야로 쫓겨난 설리가 몬스터주식회사로 돌아가려고 눈 덮인 산비탈을 썰매로 질주하는 장면, 설리와 단짝인 외눈박이 괴물 ‘마이크’가 부를 납치한 도마뱀 ‘랜달’을 롤러코스터에서 쫓는 추격전 또한 3D의 속도감과 공간감을 살렸다. ‘토이스토리’ ‘월-E’(원안)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쏟아냈고, ‘업’으로 제82회 아카데미상 장편애니메이션 작품상을 받은 피트 닥터 감독을 비롯한 스태프들이 1년 가까이 매달린 덕이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