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첫방 엠넷 ‘트로트 엑스’ 등 탈오디션… 일반인·무명가수까지 참여 경쟁
|
트로트에 심취한 10~20대, 무명가수의 눈물 등 참가자들의 사연도 버무리지만 트로트에 댄스와 힙합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해 들려주는 음악 자체에 방점을 찍는다는 게 ‘트로트 엑스’의 목표다. 김 국장은 “다른 프로그램들과 견줘 음악 자체의 수준을 높이는 데 주력한 음악쇼”라고 강조했다.
첫 시즌을 통해 춤의 대중화 가능성을 보였던 엠넷 ‘댄싱9’(오른쪽)은 오는 6월 방영될 시즌2에서 보다 화려한 춤의 향연을 예고하고 있다. ‘댄싱9’ 역시 경쟁을 통과한 참가자들을 9명씩 두 팀으로 나눠 대결하는 서바이벌의 형식으로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과 차별화했다. 여기에 이번 시즌부터는 개인이 아닌 그룹으로도 참가 신청을 받아 변화를 꾀했다. 엠넷 관계자는 “지난 주말 열린 서울 공개테스트에서는 그룹으로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춤들이 많았다”면서 “본 방송에서도 다채로운 춤의 조합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의 오디션 프로그램들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SBS ‘K팝스타3’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전형이었던 독설과 눈물짜기를 걷어냈다. 새롭게 합류한 심사위원 유희열은 참가자들에게 지적보다 칭찬을 하고 탈락한 참가자 때문에 눈물을 흘리기까지 했다. 또 생방송 무대에 오를 10팀의 후보들이 추려진 후에야 출연자들의 사연을 한 사람당 3분가량으로 소개하는 등 작위적인 스토리텔링을 자제했다. 이달 말 지역 예선을 시작해 8월 전파를 타는 엠넷 ‘슈퍼스타K6’는 지역 오디션 장소를 대폭 늘렸다. 국내에서는 울산, 전주, 청주 등 6곳을 추가해 총 14곳에서 진행되며 해외 예선 역시 시애틀과 시카고, 토론토 등 미주 7개 지역과 일본, 필리핀이 추가됐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