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군 기자와 엄마 사이… 행복은 선택 아닌 포기
어느 날 레베카가 자살 폭탄 테러 과정을 무리하게 촬영하다가 심하게 다쳐서 돌아오자, 남편은 그녀의 도발적 열정을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이별을 고한다. 수많은 사람의 인권 보호에 앞장서 왔건만 가족의 마음 하나 지키지 못한 죄로 그녀는 가정에서 퇴출당할 위기에 서게 된다. 결단의 순간, 레베카는 망설이지 않고 가족을 택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녀의 이성적 판단과 노력은 가정을 평화롭게 잠재우는 듯 보인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딸과 동행한 케냐에서 그녀는 본능을 억누르지 못하고 피습지에 남아 셔터를 누른다. 너무 쉽게 본능이 이성을 압도해 버린 것이다.
레베카의 딜레마는 얼핏 ‘일’과 ‘가정’ 사이에서 고민하는 여느 현대 여성들의 그것처럼 단순해 보일지 모르지만 훨씬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다. 우선 레베카의 직업의식은 돈이나 명예 때문이 아니라 이타적 가치관으로부터 발생한다. 그녀에게는 지구 저편에서 일어나고 있는 폭력에 대한 남다른 울분과 죄의식이 있고, 사진을 찍는 행위는 그녀의 고백처럼 일종의 ‘구원’과도 같다. 이 분야에 있어 그녀 스스로도 통제할 수 없을 만큼의 에너지가 넘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그녀의 사진이 분쟁 지역에 미치는 선한 영향력을 생각해 볼 때, 레베카는 쉽게 자신의 일에서 돌아서지 못한다. 그렇다고 남편과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한 공포를 계속 느끼게 만들면서 일을 고집한다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천 번의 굿나잇’은 레베카에게 필요했던 건 선택이 아니라 포기라고 말하는 것 같다. 레베카의 딸이 ‘해피’와 ‘럭키’, 두 마리의 고양이를 동시에 가질 수 없었던 것처럼 슬프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위안도 있다. 포기가 자발적이고 숭고한 것일 때 그것은 ‘희생’으로 승화될 것이다. ‘럭키’를 통해 ‘행복’(해피)까지 얻는 지혜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12세이상 관람가. 7월 3일 개봉.
윤성은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