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현지시간)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한 이란 감독 모하마드 라술로프의 제작진 가운데 한 명이 그의 사진을 띄운 휴대폰을 트로피 옆에 들어 보이고 있다. 베를린 EPA 연합뉴스 |
“이 영화는 사람들이 (사형제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는 영화다. 스스로로부터 책임을 밀어내기만 하고 그런 결정은 더 높은 권력을 쥔 이들이 내리면 그만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얘기하고 싶었다. 하지만 그들이 아니라고 말하면 그게 곧 힘이 된다.”(아버지 모하마드 라술로프)
지난 29일(현지시간) 막을 내린 제70회 베를린국제영화제의 최고 영예인 황금곰상은 ‘데어 이즈 노 이블’을 제작한 이란 출신 모하마드 라술로프 감독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그는 이란 당국이 과거 작품들을 문제 삼아 2017년 이후 해외 여행은 물론, 영화 연출조차 할 수 없었다. 해서 여섯 번째인 이 작품은 비밀스럽게 만들어야 했고, 본인은 제작만 맡았다.
당연히 시상식에도 나오지 못했다. 대신 주인공을 연기한 딸 바란이 수상했다. 전날 성명을 내고 영화제 참석을 막은 이란 정부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던 라술로프 감독은 시상식이 끝난 뒤 딸 바란이 연결한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소감을 밝혔다.
이란 출신 감독이 이 영화제 황금곰상을 받고도 정치적 이유로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한 것은 2015년 ‘택시’의 자파르 파나히 감독 이후 두 번째다. 베를린영화제는 정치, 사회적 논쟁을 마다하지 않는, 색깔 뚜렷한 작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파나히와 마찬가지로 사회파 감독인 라술로프는 ‘누구나 아는 비밀’의 아쉬가르 파라디와 함께 이란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국제무대에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
▲ 아버지 모하마드 라술로프를 대신해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한 딸 바란이 제레미 아이언스 심사위원장이 흐뭇하게 바라 보는 가운데 활짝 웃으며 트로피를 들어 보이고 있다. 베를린 AP 연합뉴스 |
라술로프 감독은 전날 영화제 주최측과 스카이프 위성전화로 인터뷰를 갖고 “네 가지 에피소드 모두 내 자신의 경험에 터잡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 중 하나는 교도소에서 자신을 신문했던 남자가 은행을 나오는 것을 보고 뒤따라가며 생긴 일을 다뤘다. 그는 남자를 미행하며 “얼마나 그가 평범하며 여느 다른 사람과 얼마나 닮았는지 깨달았다. 악마가 끼어드는 일이나 내 앞에 어떤 악마가 가로막고 서 있는 일도 없으며 그저 사람들이 아무런 의문 없이 행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