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노골화된 방송 간접광고

SBS, PPL 노출 주제로 한 예능 정규편성
“광고 아닌척 하는 것 보다 센스있게 활용”
놀면 뭐하니, 제작비 호소로 개그 소재화
방송사 광고 감소·누적 적자에 자구책
“노골적인 광고, 방송 질 저하 주의해야”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들이 상품 간접광고(PPL)를 점점 드러내고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27일 첫 방송한 SBS ‘텔레그나’는 지상파로는 아예 PPL을 테마로 했다.<br>SBS 제공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들이 상품 간접광고(PPL)를 점점 드러내고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27일 첫 방송한 SBS ‘텔레그나’는 지상파로는 아예 PPL을 테마로 했다.
SBS 제공
최근 일부 유튜버들이 공지 없이 상품을 광고하며 논란이 된 가운데, 지상파에서는 간접광고(Product Placement·PPL)를 정면으로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어설프게 감출 바에는 대놓고 하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지나친 노골화는 사행심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SBS는 27일 예능 프로그램 ‘텔레비전에 그게 나왔으면’(텔레그나)을 첫 방송했다. 지난 4월 2부작 파일럿(시험) 방송 이후 PPL을 내세운 예능 프로그램으로는 첫 정규 편성이다. 양세형, 유세윤, 장도연, 김동현 등 출연자와 게스트들이 자신이 담당한 제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미션을 수행한다.

앞서 파일럿 방송에서는 샤워기, 딸기, 주꾸미, 운동화 등 각종 공산품과 농산물이 등장했다. 방송 효과로 일부 제품은 완판되면서 업체 반응도 좋다는 후문이다. 정규 편성에서는 중소기업 제품 위주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연출을 맡은 김정욱 PD는 “코로나19로 기업들이 많이 어려워져 이왕이면 국내 중소기업을 돕는 것이 선한 영향력을 줄 수 있겠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청자들은 오히려 아닌 척하는 PPL에 더 불쾌감을 느낀다”면서 “센스와 의미를 갖춘 간접광고로 색다른 재미를 만들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들이 상품 간접광고(PPL)를 드러내고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최근 종영한 MBC ‘꼰대인턴’도 극 중 상품으로 라면을 자연스럽게 노출시켰다. <br>MBC 제공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들이 상품 간접광고(PPL)를 드러내고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최근 종영한 MBC ‘꼰대인턴’도 극 중 상품으로 라면을 자연스럽게 노출시켰다.
MBC 제공
지난 1일 종영한 MBC 드라마 ‘꼰대인턴’ 속 라면 ‘핫닭면’도 비교적 자연스러운 PPL로 꼽혔다. 극의 배경이 상품을 개발, 판매하는 식품회사 마케팅영업팀이었기 때문이다. 남성우 PD는 “자칫 작품의 몰입이 깨질 수 있어서 연출자로서 가장 곤란한 게 PPL”이라며 “그렇다고 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뻔뻔해지자고 생각하고 극의 맥락에서 최대한 튀지 않게 노출시키려고 했다”고 말했다.

최근 방송된 MBC 예능 ‘놀면 뭐하니?’에서도 유재석, 비, 이효리 등 출연자들이 ‘제품을 받아서 뮤직비디오 제작비에 쓰자’는 말을 서슴없이 뱉으면서 개그 소재로 삼았다. 결국 제품은 뮤직비디오에 버젓이 등장했다. 지난해 JTBC 드라마 ‘멜로가 체질’에서도 간접광고 제품을 유머코드로 활용했다.

2010년 방송법으로 허용된 이후 최근에는 PPL 없는 예능이나 드라마가 없을 정도다. PPL에 익숙해지고 눈이 높아진 시청자들은 PPL 자체보다 맥락에 맞지 않는 ‘갑툭튀’ 광고를 비판한다. 지난 6월 종영한 SBS 드라마 ‘더 킹: 영원의 군주’가 대표적이다. PPL이 극의 흐름과 전혀 맞지 않게 등장하고 배우들이 광고 문구를 읽는 듯 어색한 장면이 반복되면서 “장르가 홈쇼핑”이라는 비난을 들었고, 방송통신심의위의 경고 조치도 받았다.
예능 ‘놀면 뭐하니?’ 역시 PPL을 제작비 마련을 위한 요소로 언급하는 등 웃음 소재로 활용했다.<br>MBC 제공
예능 ‘놀면 뭐하니?’ 역시 PPL을 제작비 마련을 위한 요소로 언급하는 등 웃음 소재로 활용했다.
MBC 제공
PPL이 점점 과감해지는 것은 적자에 시달리는 방송사들의 광고 수익을 위한 선택이다.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 광고산업조사에 따르면 방송 광고 비중은 감소세지만, 2018년 기준 PPL 금액은 1270억원으로 전년보다 14.6% 늘었다. 이 중 지상파 비중은 45.1%로 가장 높다. 그러나 시청자의 시청권이 더 침해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문행 수원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기업 입장에서는 PPL을 앞세운 방송들이 매력적이기 때문에 선호하겠지만, 노골적 상품 광고가 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좋은 의도로 시작했다 해도 방송의 질이 낮아지면 시청자 비판과 함께 방심위 제재를 받을 위험도 있어 수위 조절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