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채널 ‘노는 언니’ 방송가 신선한 충격
출연진 전원 여성… 설정 없는 게 설정
제작진도 절반가량 4~17년 경력 여성
엄마·딸 역할보다 개개인 매력에 집중
넷플릭스 ‘한국 톱10 콘텐츠’ 인기 입증
▲ “맏언니 박세리 감독은 정말 쿨하고 절대 빼는 게 없어요. 남현희, 한유미, 곽민정, 정유인 등 선수들도 아이디어도 적극적으로 내고 늘 열심이고요. 새 도전이 행복하다고 하는데 그게 방송에서도 드러나는 것 같아요.” ‘노는 언니’ 제작진은 출연자들의 매력이 너무 많다며 애정 어린 칭찬을 쏟아냈다. 티캐스트 E채널 제공 |
국가대표 출신들이 모인 캠핑카에서 ‘그날’에 대한 질문이 튀어나왔다. 사석에서도 말하기 어려웠던 ‘그날’의 이야기는 골프, 펜싱, 배구, 수영 등 종목별 생리 대응법으로 이어졌다. 운동만 한 언니들이 한바탕 놀아본다는 E채널 예능 ‘노는 언니’에서 최근 화제가 된 장면이다.
이 주제는 어떻게 나왔을까. 최근 서울 마포구 E채널 제작센터에서 만난 방현영 책임PD(CP) 등 제작진은 “대본이나 설정은 전혀 없었다. 언니들의 있는 그대로를 자연스럽게 담으면 재밌는 장면들이 나온다”고 에둘러 설명했다.
최근 동영상 플랫폼 넷플릭스에 서비스된 후 ‘노는 언니’는 ‘오늘의 한국 톱10 콘텐츠’에 꾸준히 이름을 올린다. 박세리 등 여성 선수만 모은 ‘모험’으로 고무적인 결과를 얻은 제작진도 여성 비율이 높다. 방 CP와 박지은 PD, 장윤희 작가 등 기획 회의에 참여하는 스태프 10여명이 모두 여성이다. 편집, 자막, 그래픽 등을 포함하면 절반에 육박한다. 예능계에서 보기 드문 성비다.
4~17년차 경력을 가진 제작진은 “그동안 성별이 특별한 변수나 장벽이 된 적은 없다”며 “개개인 성향과 성격이 중요하다”고 했다. ‘노는 언니’ 역시 ‘각 잡고’ 만든 게 아니라 신선한 아이템을 찾다 떠올렸다.
신기하다는 시선은 오히려 외부에서 느낀다. 섭외 등의 과정에서 만나는 관계자들은 “여긴 다 여성분들이냐”는 질문을 빈번하게 건넨다. 방 CP는 “아직 여성 총괄이 드물다 보니 나를 신뢰하도록 설득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계속 헤쳐 나가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
▲ 방현영CP, 박지은PD, 장윤희 작가 등 ‘노는 언니’의 제작진들. 티캐스트 E채널 제공 |
촬영 역시 출연진의 캐릭터 자체에 집중해 ‘화장’이 필요 없다. 이미경 촬영감독은 “운동이 중심인 회차는 근육 등을 보여 주지만 평소에는 대화나 표정에 초점이 간다”며 “여성 선수를 찍는다는 관점이 아니라 아이템에 맞춰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최근 여성 CP와 남성 막내 작가들도 속속 나오면서 제작 인력에도 기존 구도가 깨지는 추세다. 박 PD는 “콘텐츠의 재미로 평가받았다는 데 보람을 느낀다”며 “언니들의 선수생활처럼 지구력을 갖고 10년쯤 롱런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밝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