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제이티 르로이’

영화 ‘제이티 르로이’<br>스톰픽쳐스코리아 제공
2000년 출간된 소설 ‘사라’는 당시 미국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매춘부 어머니 밑에서 학대당하며 자란 매춘 (여장)소년의 인생도 충격적이지만, 그보다 더 충격적인 점은 이 작품이 실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소설이라고는 하나, 자전(自傳)에 더 강조점이 찍혀 화제가 된 책을 낸 작가가 제이티 르로이다. 그는 자전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을 쓴 제이디 샐린저처럼 철저히 자기를 감췄다. 그런데 어느 날 그가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검은 선글라스를 낀 패션모델 스타일로 중성적인 매력을 어필한 르로이는 단숨에 문화계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등극했다.

흔한 성공담 아닌가. 여기까지만 들으면 그렇게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안심하시라. 진짜 이야기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몇 가지 진실부터 밝혀야겠다. 하나, 르로이는 실존 인물이 아니다. 둘, 소설 ‘사라’를 쓴 사람은 로라다. 셋, 로라는 남자친구의 동생 사바나를 만난 후, 만약 르로이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바로 그녀 같은 사람일 거라고 굳게 믿는다. 넷, 로라는 사바나에게 제안한다. 네가 르로이가 돼 인터뷰 사진을 찍으면 좋겠다. 다섯, ‘사라’를 읽고 감동한 사바나는 그러겠다고 승낙한다. 내가 아닌 사람이 돼 보는 경험도 재미있겠다 싶었고. 여섯, 로라 역시 연기에 동참한다. 그녀는 르로이의 수다스러운 매니저 스피디로 캐릭터를 설정했다.

한마디로 독자를 기만한 사기극이다. 그러나 이런 한마디로 르로이 사건이 정리될 수 없다고 본 사람도 있었다. 감독 저스틴 켈리가 대표적이다. 그는 “진실은 순수하기 힘들며 결코 단순하지 않다”는 오스카 와일드의 말을 인용한다. 이 문구를 제사로 켈리는 “표류하는 정체성”에 초점을 맞춰 다층적인 진실을 재구성한 영화 ‘제이티 르로이’를 만들었다. 그것을 가능케 한 주연배우의 공도 크다.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사바나를, 로라 던이 로라를 맡아, 극 안에서 각각 르로이와 스피디를 다시 연기하는 어려운 도전을 성실하게 해냈다. 유튜브 등에서 사바나와 로라를 직접 찾아보면 배우들의 높은 싱크로율에 놀랄 것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제이티 르로이’는 이른바 ‘부캐릭터’ 놀이가 일상화된 요즘 현상과 연관 지어 해석할 여지가 많은 영화다. 물론 누군가의 실체를 알고 속아 주는 것과 모르고 속는 것은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을 보고 있으면 누군가의 실체라는 것이 대체 무엇인가 자꾸 자문하게 된다. 정체성과 멀티 페르소나도 그리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다. 처음에는 내가 썼다 벗었다 할 수 있는 가면이라고 여겼는데, 어느 순간 가면이 얼굴에 붙어버려, 나중에는 가면도 아니고 내 얼굴도 아닌 기묘한 형상으로 변한 스스로를 당혹스러워하는 전개. 거기에 공감할 관객이 제법 많지 않을까 싶다. 한 사람이 익명의 여러 계정을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대가 된 지 오래니까.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