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3·1절 특집 다큐 ‘후손’
1919년 3·1 만세운동이 일어난 지 어느덧 100년을 훌쩍 넘겼고 당시 독립운동을 했던 생존자는 이제 20여명에 불과하다. 이제 남은 것은 기억뿐. 그들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보고 가장 오래 생각해 온 후손들은 애국열사들의 핏줄인 동시에 입과 귀로 대대로 역사를 옮기는 기억전달자이기도 하다. EBS ‘다큐프라임’은 1~2일 밤 9시 50분 3·1절 특집 다큐멘터리 ‘후손’에서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독립운동의 순간들을 밀도 있게 전달한다.
1부 ‘그날 이후’에서는 백범 김구 선생, 심산 김창숙 선생, 백암 박은식 선생, 나석주 지사 등의 후손 9명을 만나 독립운동을 하나의 사진처럼 생생하게 그려낸다.
▲ EBS 다큐프라임이 3·1절을 맞아 기획한 특집 다큐멘터리 ‘후손’에서 충남 공주에서 의병대장으로 활약한 김순오 선생의 증손녀 한수연씨가 선대에게 전해 들은 그날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한다. EBS 제공 |
▲ EBS 다큐프라임이 3·1절을 맞아 기획한 특집 다큐멘터리 ‘후손’에서 을사오적을 성토하는 상소를 올렸던 심산 김창숙 선생의 손녀 김주씨가 선대에게 전해 들은 그날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한다. EBS 제공 |
2부 ‘애국가족’은 애국지사 손녀이자 다큐멘터리 프로듀서인 엄정화 감독이 광복군 임시정부 경위대를 지낸 할아버지의 시간들을 기록하기 위해 5년 넘게 카메라에 담은 자기 반영적 다큐멘터리로 풀어 간다. 99세 나이로 생존해 있는 애국지사 오상근 선생의 역사와 함께 4대 가족들이 각자 다른 방식으로 나라를 사랑하고 기억하는 모습들이 담겼다.
올해 설날 아침, 오상근 선생 앞에 화상으로 모인 수십명의 가족들은 서로 다른 이야기를 나누는 듯하면서도 결국엔 ‘애국’이라는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 같다. 이들의 모습은 서로를 이해하려 하지 않고 반목하며 갈등을 겪는 대한민국 현실에서도 다름을 넘어 따뜻하게 공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는 우리의 자화상이자 바람이기도 하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