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음 소희’ 감독 정주리

“전주 콜센터 실습생 사건 바탕
외국 관객들 눈물 흘려서 놀라
분노 넘어 사회적 시스템 질문”

프랑스 칸에서 열리고 있는 제75회 칸영화제 비평가 주간 폐막작으로 선정된 ‘다음 소희’의 정주리 감독이 25일(현지시간) 영화제 공식 상영을 마친 뒤 국내 언론과 만나 소감을 이야기하고 있다.<br>칸 뉴스1
“분노하는 것으로 끝나면 안 됩니다. 이 이야기가 사람들 마음에 남아야 합니다. 그래야 좀더 희망을 볼 수 있겠지요.”

제75회 칸영화제 비평가주간 폐막작으로 선정된 ‘다음 소희’의 정주리 감독은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공식 상영을 마치고 한국 취재진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다음 소희’는 특성화고 학생인 소희(김시은)가 콜센터 현장 실습생으로 일하며 겪는 일을 그린 작품이다. 2016년 전주의 한 콜센터에서 발생한 사건을 바탕으로 했다. 정 감독은 한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통해 뒤늦게 사건을 접하고는 지난해 1월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성년이 되지 않은 아이들이 도대체 왜 이런 일을 겪는지 기가 막혔다”며 “영화 준비 과정에서도 비슷한 일이 반복돼 억장이 무너졌다”고 돌이켰다.

소희의 죽음으로 1부가 끝나고, 2부에서는 형사 유진(배두나)이 그 죽음을 수사한다. 사건을 파헤칠수록 드러나는 시스템의 부조리함에 유진은 분노한다. 정 감독은 유진을 통해 연신 묵직한 질문을 우리 사회에 던진다. 정 감독은 “탈고까지 직접적이고 설명적인 부분을 최대한 덜어 보려고 했다”며 “그러나 반드시 해야만 하는 말들이었다”고 강조했다.

너무나 한국적인 이야기에, 심지어 자신도 사건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한 작품이었기에 외국 관객이 공감할 수 있을지 걱정했다고 한다. 기우였다. 정 감독은 “오늘 상영회 때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 보편성의 힘을 느꼈다”며 “한 아이가 겪는 고통스러운 일을 바라보며 ‘어떤 시스템 때문에 일이 이렇게 됐을까’ 관객들이 생각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영화에서 터져나온 목소리들이 스크린 바깥까지 이어지길 원했느냐는 질문에 그는 “그래서 이 사건을 영화로 만들고 싶었던 것 같다”고 힘주어 말했다.

배두나는 폭력에 노출된 두 여성의 연대와 회복을 그린 정 감독의 전작 ‘도희야’(2014)에서도 호흡을 맞췄다. 정 감독은 배두나를 떠올리며 시나리오를 썼다고 한다. “끝까지 관객을 사로잡는 독보적인 아우라에 유진이라는 캐릭터를 충분히 구현해 낼 수 있는 유일한 배우라 생각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경쟁 부문 진출작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에도 출연한 배두나는 일정상 이번 영화제에 참석하지는 못했다.

정 감독은 칸 초청이 두 번째다. 8년 전 ‘도희야’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받았다. ‘다음 소희’까지 비평가주간에 진출하면서 정 감독은 장편 두 편 모두 칸의 선택을 받았다. “첫 영화를 만들고 관객 여러분의 말씀을 들으면서 다짐한 게 있어요. 아무리 작은 이야기, 소수자의 이야기라도 내가 열심히 하면 어디선가 누군가는 귀 기울여준다는 믿음을 갖자는 거예요. 그러면 또 다음 영화를 만들 수 있을 테니까요. 빨리 관객 여러분을 또 만나고 싶습니다.” 

칸 이은주 기자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