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아의 딸

영화 ‘경아의 딸’
사생활은 공적 생활을 짝하여 늘 경계선이 달라진다. 1985년 출간된 대작 ‘사생활의 역사’ 시리즈가 공유하는 인식이다. 그런데 아무리 사생활의 영역이 변화해도 공적 생활로 넘어오면 안 되는 것이 있다. 그중 하나가 성생활이다. 전근대사회에서는 신랑 신부의 첫날밤을 엿보는 문화도 있었다. 지금은 개인의 권리를 중시하는 근대사회다. 남의 침실 안을 몰래 기웃거리는 일은 커다란 범죄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그런 짓을 저지른다. 죄책감 없이 타인의 신체를 촬영해 인터넷에 유포시킨다.

물론 그들을 징벌하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시행 중이다. 그러나 영상 이미지를 찍어 보내는 행위는 제재되지 않는 등 허점이 많다. 설령 단죄가 된다 한들 파탄 난 피해자의 공적 생활을 성폭력처벌법이 복원시켜 주지는 못한다. ‘경아의 딸’은 가해자에게 형벌이 적용된 것과는 별개로, 산산조각 난 삶을 힘겹게 이어 붙여 나가야 하는 피해자를 조명하는 영화다. 눈여겨볼 점은 피해자를 둘러싼 구도가 단순하지 않다는 것이다. 우선 명시적인 피해자는 고등학교 교사인 연수(하윤경)다. 그녀는 헤어진 연인 상현(김우겸)과의 재회를 거절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말한다. “너, 후회하지 않을 자신 있어?”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상현은 악랄한 방법을 취한다. 그는 그녀와의 잠자리 영상을 인터넷에 퍼뜨렸고, 그녀의 지인들에겐 직접 전송했다. 그렇게 연수의 인격이 살해당했다. 공개돼서는 안 될 사생활이 퍼짐으로써 그녀의 공적 생활은 소멸했다. 가르치던 학생들을 도저히 대면할 수 없어 연수는 직장을 그만두고 방에 틀어박힌다. 또 다른 피해자도 있다. 그녀의 엄마 경아(김정영)다. 남편이 사망하기 전까지 그의 (성)폭력에 시달렸으면서도 속으로만 울분을 삼켰던 그녀 역시 구제받지 못한 피해자다. 휴대폰 메시지로 전송된 딸의 영상을 본 뒤 엄마의 인생은 더 격렬하게 소용돌이친다.

문제는 경아가 연수의 상처를 더한다는 데 있다. 엄마는 딸을 “걸레”라고 비난한다. 이 순간 피해자인 엄마는 딸에게 가장 친밀한 가해자가 되고 만다. 연수는 경아와 연락을 끊고 잠적해 버린다. 그리하여 이 영화는 두 가지 과제를 짊어진다. 하나는 연수가 끝장나 버린 자신의 공적 생활을 부활시키는 일, 다른 하나는 경아가 연수에게 저지른 잘못을 반성하고 든든한 지원군으로 거듭나는 일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딸과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엄마의 감춰진 고통을 들여다보고 보듬는 과정으로까지 옮겨 간다. “엄마 탓 아니야. 내 탓도 아니고”라는 연수의 다독임은 그래서 울림이 크다. 한 걸음이 아닌 반걸음만 내딛기. 첫 장편 연출작에서 김정은 감독은 완전한 희망이 아니라 희미한 희망을 전한다. 수긍이 되는 메시지다. 공적 생활은 사생활의 뒷받침으로 재건될 여지를 갖는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