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로 많은 것을 설명하지 않아도 넘치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영화들이 있다. 등장인물들의 심정과 행동에 대해 주어지는 감성적 정보들이 웃음보와 눈물샘을 자극하는 그런 영화 말이다. 주인공의 과거에 대한 해설을 최대한 자제하면서도 그들의 행위에 충분히 공감하게 만드는 ‘마테호른’ 역시 그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의 중심에는 대사 대신 조금 모자란 듯한 의문의 사나이, 테오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음악이 있다.
네덜란드의 시골 마을에 살고 있는 프레드는 겉보기엔 경건하고 규칙적인 삶을 살고 있지만, 사실은 아내가 죽고 아들(요한)을 쫓아낸 고독과 슬픔을 주체할 수 없어 폐인이 돼 가는 중이다. 여전히 진행 중인 내적 갈등으로 폭발할 것 같은 감정을 억누르며 살고 있는 그가 조금씩 변화의 조짐을 보이는 것은 우연히 사고로 정신이 약간 이상해져 버린 테오를 만나면서부터다. 테오는 동물 흉내를 내거나 껴안는 행동 외에는 몇 마디 말밖에 할 줄 모르지만 특유의 순수함으로 점차 프레드의 마음을 열어 간다. 프레드에게는 엄격한 교리로 인간의 본성을 옭아매는 종교나 감시와 정죄를 일삼는 이웃보다 함께 식사를 하고, 장을 보고, 공을 차 줄 가족과 같은 존재가 필요했던 것이다. 결국 프레드가 테오를 먹여 주고 재워 주는 데서 시작된 둘의 관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모든 면에서 테오가 프레드를 돌보는 것으로 역전된다.
처음부터 끝까지 내러티브의 호흡을 지휘하고 있는 바흐의 음악은 영화의 성격과 주제를 잘 드러내는 장치이자 또 하나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바흐에 대한 감독의 애정은 그의 말을 인용하는 첫 장면부터 시작되는데, 경건하고 성숙한 바흐의 음악처럼 ‘마테호른’은 전반적으로 조용하면서도 나긋하게 관객들의 마음을 어루만진다. 정교하고 치밀한 미장센 또한 바흐의 대위법을 영화에 그대로 적용시킨 듯하다. 여기에 기존 교구 음악을 넘어서고자 했던 바흐에 대한 해석까지 덧붙여진다. 감독은 그간 절제해 왔던 영화의 감정선을 마지막 1분 30초 동안 영화적 형식을 통해 마음껏 폭발시킨다. 마테호른과 게이 바의 전경이 교차되면서 현재의 요한이 부르는 ‘This is my life’와 여덟 살의 요한이 불렀던 바흐의 음악이 겹쳐지는 마지막 장면은 압권이다.
두 남자의 만남과 동거, 게이의 등장은 이 영화를 단순히 성적 소수자들에 관한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만들 여지가 있다. 혹자는 보수적인 종교에 대한 비판을 담은 영화로 해석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마테호른’은 무엇보다 인간의 깊은 상처와 외로움을 치유해 줄 묘약을 또 다른 인간의 동행과 위로에서 발견해 가는 이야기다. 그리고 인간을 둘러싼 모든 편견에 저항하는 자유에 관한 찬가다. 프레드는 다시 마테호른에 올라 아내와 아들, 그리고 자신의 과거와 화해하며 그 자유를 만끽한다. 무엇이든 새로 시작하기 좋은 요즘과 잘 어울리는 작품이다.
윤성은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