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마치다군의 세계’

‘도쿄의 밤하늘은 항상 가장 짙은 블루’ 한국 개봉으로 작년에 내한한 감독 이시이 유야는 인터뷰 말미 차기작을 언급했다. “내가 연출한 영화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즐겁고 명랑한 영화다.” 그 영화가 ‘마치다군의 세계’다. 과거 이시이 유야는 코미디로 분류되는 영화를 적잖이 만들어왔다. 그러므로 ‘아주 즐겁고 명랑한 영화’를 선보였다는 사실이 그의 말처럼 새삼스레 놀랍지는 않다.

다만 이번에는 그 농도가 매우 짙다.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삼았기 때문일 터. 2016년 데즈카오사무 문화상 신인상을 받은 이 작품은 주인공 마치다가 특히 눈길을 끈다. 고등학생인 그의 특기는 (원작을 인용하면) “사람들을 사랑하고, 사람들에게서 사랑받는” 것이다. 이것이 마치다가 가진 능력이다.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적대감으로 가득한, 이를테면 ‘혐오 사회’라 할 만한 오늘날 그의 존재는 특별해 보인다.

마치다에 대비되는 인물이 동급생 이노하라다. 그녀는 사람들을 미워하고, 사람들에게서 미움 받는다. 사랑 대표와 미움 대표가 만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사랑이 미움 쪽으로 기울까, 아니면 미움이 사랑 쪽으로 기울까. 영화에 한정하면 힌트는 이미 제시했다. 이시이 유야 스스로가 ‘아주 즐겁고 명랑한 영화’라고 밝혔으니까. 그는 이렇게 덧붙이기도 했다. 이 작품은 성자 같은 마치다가 이노하라를 사랑하면서 평범한 사람이 되어가는 이야기라고.

그것은 사랑의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속성을 가리키는 동시에, 그런 사랑을 해야 ‘나도 몰랐던 나’를 발견할 수 있다는 메시지와 일맥상통한다. 예컨대 버스에서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풍선을 놓친 아이를 대신해 뜀박질하는 마치다는 타인의 고통에 민감하다. 하지만 자기의 고통에는 무감하다. 손을 다쳐 피가 철철 나는 데도 전혀 아파하지 않는다. 마치다의 세계에는 다른 사람만 있고 정작 본인은 없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이 영화는 내면이 결여된 채 모두에게 친절만 베풀던 인형이, 모두와 함께 사는 가운데 자신을 돌보는 ‘자기 배려’(푸코) 방식을 고민하는 인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아낸다. 시간이 갈수록 마치다가 “대체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어” 하고 거듭하여 중얼거리는 까닭도 거기 있다. 이처럼 의외로 철학적인 물음을 던지는 원작과 영화는 독자와 관객을 사로잡을 만한 요소를 갖췄다.

그러나 이 영화는 만화를 실사화한 작품에 따르는 위험을 피하지 못했다. 만화 특유의 과장된 상상을 영화 장면으로 그대로 바꿔놓기만 해서다. 만화라면 납득 가능한 에피소드가 영화에서는 납득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1000대1의 경쟁률을 뚫었다고는 하나, 마치다와 이노하라 역을 맡은 배우들의 연기는 그래서 더 어색해지고 말았다. ‘마치다군의 세계’가 감독 말고 관객에게도 ‘아주 즐겁고 명랑한 영화’가 될까?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