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위의 문근영(23)은 도발적이고 당당했다. 연극 ‘클로져’에서 섹시한 의상을 입고 차가운 대사를 쏟아내는 그녀는 ‘국민여동생’이라는 수식어를 떠나 보낼 채비를 단단히 한 것처럼 보였다. 아직 완숙하진 않지만 연극배우로서 첫 도전에 나선 그녀를 지난 10일 서울 대학로에서 만났다.
-무대 밖에서는 하나도 안 떨리고 “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막상 첫 장면에서 조명이 탁 켜지는데 너무 떨렸다. 이성적으로는 “떨지 말자, 아무것도 아니야.”라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몸이 떨리는 신체적인 반응에 나도 놀랐다. 안그래도 부족한데 대사도 많이 까먹고 그랬다.
→차기작으로 영화나 드라마가 아닌 연극을 선택한 이유는.
-연극을 늘 해보고 싶었는데 마침 이 작품이 주어졌다. 객석에서 연극을 볼 때는 편하고 쉽게 보였지만, 막상 무대에 오르니 겁도 나고 배우로서 너무나 큰 책임감이 느껴진다. (전체 공연의 절반인) 총 40회 정도 공연을 하는데 한번만이라도 관객들과 함께 울 수 있는 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클로져’는 영국 런던에 사는 네 남녀의 엇갈린 사랑과 배신을 그려낸 작품으로 1997년 런던에서 초연된 이후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문근영은 우연히 만난 남성 댄과 사랑에 빠지지만 그의 바람기 때문에 상처받고 갈등하는 스트립 댄서 앨리스 역을 맡았다.
→본인이 앨리스 역을 고집했다고 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
-순간에 솔직하고 올인하는 앨리스의 정열적인 사랑법이 마음에 들었다. 극중 앨리스는 매순간 섹시하고 매력이 넘치는 인물로 묘사되는데, 무대에서는 소녀적인 모습도 가미해 나만의 앨리스를 표현하려고 한다. 작품이 끝나고 “누가 뭐래도 앨리스는 너밖에 없어.”라는 평가를 듣고 싶다.
→노출 의상, 키스신, 흡연 장면 등 다소 파격적인 연기가 부담되지는 않는지.
-극중 앨리스의 나이가 나랑 비슷하고, 나도 예전에 비해 알 것 다 아는 스물세 살이다. 아직은 좀 더 깊은 맛을 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어서 고민하고 있을 뿐, 연기에 대한 부담감은 전혀 없다. 앨리스는 여러 사람을 홀리는 매력이 있는데, “내가 과연 그런 매력이 있는지”에 대해 고민한 적은 많다.
그녀의 이번 도전이 관심을 모으는 이유는 그동안 각종 영화와 드라마에서 ‘국민 여동생’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순수한 이미지에 갇힌 문근영이 이미지 변신을 시도했던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에 이어 완전한 성인 연기자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무대이기 때문이다.
→‘국민 여동생’이라는 이미지가 연기 변신의 짐이라고 생각한 적은 없나.
-어느 순간 짐이 되기도 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그렇게 봐주신다면 내가 더 큰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이미지는 오랜 시간에 걸쳐 생긴 것이기 때문에 내가 한번 화끈하게 연기한다고 해서 쉽게 달라지기는 어렵다. 평생 연기를 하면서 풀어가야 할 숙제인 것 같다. 나도, 보는 분들도, 한 살씩 나이를 먹으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해 마음이 편해졌다.
→연극과 드라마 연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드라마에서는 온몸으로 연기를 해도 얼굴만 화면에 잡히지만, 무대 위에서는 내 모든 것이 보여지기 때문에 더 신경이 쓰인다. 드라마는 상대 배우와 호흡이 썩 좋지 않아도 편집을 통해 그럴 듯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연극은 그게 안 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지게 느껴지는 차이다.
→연극배우로서 발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드라마는 목소리를 세밀하게 잡아주는 마이크가 있어 발음이 또렷하지 않아도 되고 숨소리가 섞일 때도 있다. 그런데 연극에서 그렇게 대사를 전달하면 문제가 된다. 연습할 때 목소리를 크고 고르게 내라는 지적을 많이 받았다. 다른 배우들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어 혼자서 따로 발성 연습을 하기도 했다.
앨리스처럼 치명적인 사랑에 빠져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해봤다고 말을 안 해서 그렇지 그런 사랑을 안 해본 것은 아닌 것 같다.”며 환하게 웃는 문근영. 그녀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이미 성숙한 여인이자 배우로 변해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