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감독은 20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불특정 다수가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사운드를 입힌다. 내러티브(서사)가 형성될지도 알 수가 없다. 일반적인 영화와 개념부터 달라서 뭐라 불러야 할지 모르겠다. ‘상호 집단생산 영화’쯤 될까.”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영상들이 올라올지 예측불가인 상태에서 5시간에 편집을 끝내야 하기 때문에 설렘보다는 걱정이 크다. 자신감이 있어야 기대가 크다고 말할 텐데, 이 경우에는 ‘뻥’을 치는게 된다.”며 웃었다.
1230만 관객을 불러모아 역대 한국영화 흥행 2위에 오른 ‘왕의 남자’(2005)의 이준익 감독은 지난해 초 ‘평양성’의 개봉을 앞두고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면 상업영화를 은퇴하겠다.”고 말했다. 결연한 각오처럼 했던 말이 스스로를 가두는 족쇄가 됐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들끓었고, 그는 잠적했다. 이번 작품을 연출 복귀를 염두에 둔 행보로 봐야 할지 궁금했다.
●“어느 순간 욱하고 영화계로 돌아올지도…”
이 감독은 “감독 고유의 업무수행과는 거리가 먼 이벤트성 행위다. 복귀와는 연결짓지 마라.”고 잘라 말했다. 또한 “(복귀 여부는) 현재로선 무계획, 무계산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과도한 경쟁체제에서 살아남으려는 욕망으로 몸부림친 세월이었다.”면서 “말실수에서 비롯된 은퇴선언 덕분에 자신의 뒤통수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감독은 “쉬어 보니까 매우 좋다. 당신도 관둬보면 내 마음을 이해할 것”이라면서도 “감정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어느 순간 욱하고 돌아올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 시기는 늦을수록 좋다. 천천히 가고 싶다.”고 말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