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다큐작가의 시선으로 본 파리 ‘누드쇼’

 ‘크레이지 호스’의 홍보 문구는 현란하다. ‘오감 만족 아트 섹슈얼 쇼’, ‘물랭루주보다 더 뜨겁고 섹시한 프랑스 대표 쇼가 온다’ 등등. 글쎄다. 60년 역사를 자랑하는 전설적인 클럽 ‘크레이지 호스’의 표현으로는 적당할지 몰라도 영화에 대한 설명으로는 썩 어울리진 않는다. 공연문화가 활황세에 접어들자 공연 자체를 기록한 영화도 덩달아 관심을 끄는 중이다. 물론 ‘크레이지 호스’도 요즘 분위기에 편승해 개봉되는 게 사실이다. 파리의 관광 명소이자 비싼 관람료를 내야 볼 수 있는 누드 쇼를 스크린에서나마 보는 게 어딘가. 하지만 적어도 ‘크레이지 호스’의 개봉에 즈음해 방점을 찍어야 할 부분은 영화를 연출한 프레드릭 와이즈먼이다. 현존하는 다큐멘터리 작가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인 와이즈먼의 영화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봉되기 때문이다.

 와이즈먼이 미국의 사회 시스템을 기록한 일련의 작품들은 당대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불린다. 팔순이 지난 지금도 현장에서 활발하게 작업하는 그가 최근 발표한 작품이 ‘크레이지 호스’다. 그는 찍는 대상에 절대 관여하지 않은 채 오랜 기간에 걸쳐 관찰하고 촬영한 뒤 그것을 다시 오랜 시간 동안 편집해 영화를 완성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인물 소개, 내레이션, 인터뷰 등을 배제하고 오로지 바라보기를 지속하는 그의 다큐멘터리가 자칫 건조해 보이기도 하지만, 특유의 리듬으로 대상의 진실에 접근하는 자세는 독보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니까 ‘크레이지 호스’는 매끈한 몸매를 지닌 여자들의 누드 쇼를 기록한 영화가 아니다. 누드 쇼로 유명한 클럽의 실체에 관한 기록이다.

 극장에서 야한 쇼를 보겠다고 설렜던 관객에게 무슨 날벼락 같은 말인가. 위로하는 마음에 한 말씀을 더하자면 ‘크레이지 호스’가 여러 공연 장면을 가감 없이 보여 주기는 한다는 것. 문제는 누드 쇼가 시각적으로 자극적이지 않다는 데 있다. 분명히 다 보여 주면서도 쇼가 의도한 느낌을 의도적으로 제거하고 있는데, 그것이야말로 이 영화의 특징이다. 숨 막힐 듯 뜨거운 누드 쇼를 롤러코스터의 경험처럼 전하는 대신 쇼 앞뒤로 제작 과정을 붙여 육체 노동의 결과물로 보이도록 해 놓았다. 영화는 댄서, 클럽 운영진, 현장 스태프처럼 무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광객, 안내원, 조명, 기념품, 주방, 샴페인, 건물 등의 총체가 ‘크레이지 호스’라는 쇼의 정체를 구성한다고 말한다.

 와이즈먼이 2009년에 발표한 ‘댄스: 파리 오페라 발레단’과 비교해 ‘크레이지 호스’의 완성도는 떨어지는 편이다. 각각 파리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를 상징하는 대상을 다룬 두 영화의 접근법이나 형식은 거의 비슷하지만, 와이즈먼은 후자의 실체에 별로 끌리지 못했던 모양이다. 시차를 두고 삽입된 클럽 운영자와 무대감독의 논쟁, 무대감독과 예술감독의 의견 차이, 예술감독 인터뷰를 연결해 보면 그런 점이 드러난다. 그들은 페데리코 펠리니나 마이클 파웰 영화에 버금가는 경지의 아트 쇼를 의도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와이즈먼은 그들의 의도와 실제 결과물의 간극에 의문을 품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그는 영화의 맨 앞과 뒤에 ‘그림자 놀이’를 배치했다. 그것을 통해 앞으로 보게 될 매혹적인 누드 쇼가 단순한 환영에 불과하다는 걸 미리 알려 주고 끝내 재확인하려는 듯하다. 19일 개봉.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