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예정 엠바고 요청… 가족한테만 살짝”
비평가주간 시상은 경쟁부문 폐막보다 이틀 앞선 지난달 24일 있었다. 신 감독은 애초 24일 귀국 예정이었다. “22일 주최 측에서 전화가 왔어요. 출국 일정을 늦춰 달라고. 왜 그러냐고 그랬더니 수상을 할 텐데 24일까지 엠바고(보도유예)를 지켜 달라더군요.” 그는 정말 엠바고를 지켰을까. “가족들한테만 문자로 살짝 알렸다.”며 슬며시 웃었다.
아직 조금은 얼떨떨한 모양이다. 그럴 법도 했다. 멀쩡하게 잘 다니던 학교에 사표를 던진 지 10여년이 흘렀다. 그때만 해도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릴지 남편과 두 아이는 물론 본인도 짐작조차 못 했을 터. “한예종에 원서를 낼 때, 1년 뒤 교육청에 사표를 낼 때 고민을 많이 했죠. 처음에는 ‘간’만 보자는 생각이었어요. 그런데 막상 해 보니까 뭔가를 만들어 내는 게 아주 좋았고, 이게 내 길이다 싶은 거죠. 고등학교나 대학교 땐 공부하는 게 더 편하다고 생각해 교사의 길을 택했는데 길을 잘못 들었던 거예요.”
2003년 단편 ‘면도를 하다’ 이후 공식 기록이 없다. 감독에게 필모그래피가 없다는 건 본격적으로 고생길이 열렸다는 얘기다. 신 감독은 “두 번쯤 엎어졌다(영화 제작이 중단됐다는 뜻). 첫 번째는 초기 투자까지 이뤄졌는데 흐지부지됐고, 두 번째도 시나리오를 계약까지 했는데 안 풀렸다. 상업영화 준비하는 데 2~3년씩 걸리니까 나처럼 두 편이 엎어지면 5년쯤은 훌쩍 지나간다.”라며 씁쓸한 기억을 떠올렸다.
조금씩 초조해졌다. 맞벌이 때에 비하면 살림살이도 팍팍해졌다. 그는 “그만둘까도 생각했다. 사표를 냈기 때문에 다시 교사를 하려면 임용고시를 봐야 한다. 기간제 교사는 할 수 있지만 그건 젊은 친구들 위주다.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예전 일기장을 보면 그런 고민을 했더라.”고 털어놓았다.
악전고투의 연속이었다. 그러다가 영화감독을 꿈꾸는 평범한 30대 아줌마의 실패담을 다룬 자전적인 장편영화 ‘레인보우’를 찍은 게 2009년. 이듬해 전주국제영화제 장편부문과 도쿄 국제영화제 아시아의 바람 부문 최고상을 받았다. 그는 “꼭꼭 묻어 둔 퇴직금에 지인에게 빌린 1000만원 등을 보태 4700만원으로 찍었다. 첫 장편인데 상도 받고 극장 개봉도 하면서 비로소 자신감이 생겼다. 그런데 상금은 후반 작업에 쓰고, 투자받은 돈 갚느라 다 날렸다. 한 푼도 챙긴 건 없다.”며 웃었다.
●“차기작 ‘명왕성’ 내 영화 중에선 최대규모”
차기 작 ‘명왕성’은 명문고에서 입시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이 불러일으킨 사건을 다룬다. 10년을 교육현장에서 보낸 그의 경험이 오롯이 녹아든 작품이다. 저예산 영화라고는 하지만 고교생으로 등장하는 김꽃비, 이다윗, 성준과 조성하, 황정민 등 묵직한 조연까지 나선다. 기대치를 한껏 높이는 탄탄한 캐스팅이다.
‘블록버스터급 캐스팅 아니냐’고 장난처럼 물었다. 신 감독은 “30회차 촬영(장편영화 평균은 40~60회차, 대작은 80~90회차까지 찍는가 하면, 홍상수·김기덕 감독은 10회차 안팎이다)이니 블록버스터는 아니지 않나.”라면서 “지금껏 내 영화 중 최대 규모인 것만은 틀림없다. 투자가 덜 된 상황인데 수상 소식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사표를 던질 때 품은 꿈은 이룬 것일까. “글쎄… 영화감독의 꿈은 이뤘지만 이 바닥이 워낙 금방 잊혀지는 곳 아닌가. 현장에선 모두가 감독만을 바라본다. 항상 긴장하고 있다.”
글 사진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