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드러나는 야만인 본성 교양인의 처절한 민낯

야스미나 레자는 근래 주목받는 작가 중 한 명이다. 서구에서만 그러한 게 아니라 한국에서도 그녀의 작품은 큰 성공을 거뒀다. 폭넓은 관객을 불러 모은 연극 ‘아트’의 인기는 대단해서 남자 배역을 여자로 바꾸어 공연될 정도였고, 거기에 힘입어 ‘대학살의 신’ 또한 무대에 오른 바 있다. 공연 초기에 ‘아트’와 ‘대학살의 신’을 보면서 처음 드는 생각은 ‘재미있다’는 것. 지적이면서 난해하지 않은 내용은 장점이자 단점이다. 소수 인물이 제한된 공간에서 벌이는 말의 전쟁이 지루할 틈을 주지 않지만, 은유하는 게 조금 빤해 곱씹기엔 부족해 보였다.

왜 레자의 연극이 한국에서 인기가 높을까. 공연문화가 활기를 띠는 현상이 한몫했음은 분명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산층 중심의 ‘교양 학습’에 대한 관심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다. 예전에는 돈을 잘 벌고 자식을 잘 키우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수억짜리 아파트를 한두 채씩 꿰찬 지금 그들에게 절실한 건 교양이다. 당연히 뼛속 깊이 교양을 새길 필요는 없다. 어디 가서 아는 척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되고, 그러자니 이따금 공연을 보면서 적당히 눈을 높이는 게 쉬운 해결책으로 자리 잡았다. 레자의 극에 나오는 인물들도 그런 유의 사람들이다. 자기처럼 얄팍한 인물을 보고 즐기면서 동시에 교양도 살찌우게 되니 그야말로 일석이조인 셈이다.

‘대학살의 신’은 아이들의 다툼 탓에 대면해야 했던 두 부부의 이야기다. 해결책을 두고 할 말만 나누고 헤어지면 별 문제는 없을 터였다. 그러나 만남의 시간이 연장되면서 볼썽사나운 말과 행동이 툭툭 튀어나온다. 처음에야 상대방에게 예의를 차리겠지만, 짜증이 슬슬 밀려올 즈음엔 속에 들어찬 더러운 본성으로 맞대응하기 마련이다. 중산층 부부는 억지 교양의 바닥이 드러나는 순간마다 신경이 곤두서고, 상류층 부부는 상대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한 인간임이 들통나 곤욕을 치른다. 뉴욕의 한 아파트는 몹쓸 됨됨이들이 뒹구는 진창으로 변한다.

‘대학살의 신’은 인간이 원래 폭력적인 존재가 아닌지 묻는다. 도시에 살며 우아하게 행동하는 치들은 ‘무슨 소리?’라며 펄쩍 뛸 일이다. 기실 문화생활을 누리고 지식을 쌓으며 정치적으로 올바른 말을 쓴다고 해서 저절로 교양인이 되는 건 아니다. 내면이 성숙하지 않으면 야만적인 존재와 하등 다르지 않다. ‘대학살의 신’의 네 사람은 대화하는 척하다 결국 싸우면서 야만인의 본성을 드러내고 만다. ‘대학살의 신’은 ‘올바른 척하는 인간, 교양 있는 척하는 인간, 착한 척하는 인간, 잘난 척하는 인간’의 신경을 건드린다. 그리고 그들이 차려 쓴 가면마저 모조리 벗겨 버린다.

영화화된 ‘대학살의 신’은 연극과 거의 비슷한 내용을 담았다(앞뒤로 삽입된 두 개의 실외 장면은 감독이 덧붙인 귀여운 농담이다). 실내극의 대가 로만 폴란스키는 자신과 딱 어울리는 소재와 만나 유려하게 붓을 휘두른다. 흡사 편집 없이 80분 만에 다 찍은 듯 영화는 리드미컬하게 흘러가며, 카메라의 다양한 각도와 인물의 과감한 배치는 ‘불편함의 미’를 빚는다. 쉴 새 없이 맞받아쳐야 하는 대사를 맛깔나게 소화한 배우 네 명의 연기 앙상블도 뛰어나다. 연극무대에서 못 본 아쉬움을 달래기에도 모자람이 없다. 16일 개봉.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