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살의 신’은 아이들의 다툼 탓에 대면해야 했던 두 부부의 이야기다. 해결책을 두고 할 말만 나누고 헤어지면 별 문제는 없을 터였다. 그러나 만남의 시간이 연장되면서 볼썽사나운 말과 행동이 툭툭 튀어나온다. 처음에야 상대방에게 예의를 차리겠지만, 짜증이 슬슬 밀려올 즈음엔 속에 들어찬 더러운 본성으로 맞대응하기 마련이다. 중산층 부부는 억지 교양의 바닥이 드러나는 순간마다 신경이 곤두서고, 상류층 부부는 상대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한 인간임이 들통나 곤욕을 치른다. 뉴욕의 한 아파트는 몹쓸 됨됨이들이 뒹구는 진창으로 변한다.
‘대학살의 신’은 인간이 원래 폭력적인 존재가 아닌지 묻는다. 도시에 살며 우아하게 행동하는 치들은 ‘무슨 소리?’라며 펄쩍 뛸 일이다. 기실 문화생활을 누리고 지식을 쌓으며 정치적으로 올바른 말을 쓴다고 해서 저절로 교양인이 되는 건 아니다. 내면이 성숙하지 않으면 야만적인 존재와 하등 다르지 않다. ‘대학살의 신’의 네 사람은 대화하는 척하다 결국 싸우면서 야만인의 본성을 드러내고 만다. ‘대학살의 신’은 ‘올바른 척하는 인간, 교양 있는 척하는 인간, 착한 척하는 인간, 잘난 척하는 인간’의 신경을 건드린다. 그리고 그들이 차려 쓴 가면마저 모조리 벗겨 버린다.
영화화된 ‘대학살의 신’은 연극과 거의 비슷한 내용을 담았다(앞뒤로 삽입된 두 개의 실외 장면은 감독이 덧붙인 귀여운 농담이다). 실내극의 대가 로만 폴란스키는 자신과 딱 어울리는 소재와 만나 유려하게 붓을 휘두른다. 흡사 편집 없이 80분 만에 다 찍은 듯 영화는 리드미컬하게 흘러가며, 카메라의 다양한 각도와 인물의 과감한 배치는 ‘불편함의 미’를 빚는다. 쉴 새 없이 맞받아쳐야 하는 대사를 맛깔나게 소화한 배우 네 명의 연기 앙상블도 뛰어나다. 연극무대에서 못 본 아쉬움을 달래기에도 모자람이 없다. 16일 개봉.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