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극적인 반전도 없다. 중요해진 건 공간의 변화다. 영화 속 공간은 아키코가 친구를 만나는 카페, 다카시를 찾아가는 아키코가 탄 택시, 아키코를 학교에 데려다 주는 다카시의 승용차, 아키코와 함께 머무르는 다카시의 집 등 네 곳뿐. 카메라의 시선은 늘 창문 밖에서 안쪽을 향하고 있다. 관계 맺기에 서툰 아키코와 다카시 등 주인공들이 폐쇄된 공간에 스스로 들어가 잔뜩 움츠린 모양새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젊음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면서 가족이나 남자 친구와도 거리를 두는 아키코나 무료하고 외로운 삶 속에서 돈으로 산 여자에게 정신적인 위안을 얻으려는 다카시는 일그러진 소통이란 측면에서 다르지 않다. 반면 고교를 중퇴하고 자동차 정비공으로 살아가는 노리아키는 영화 속에서 늘 공간의 창(다카시의 승용차와 집) 밖을 맴돈다. 타인을 대하는 노리아키의 방법은 거칠지도 모른다. 하지만 솔직하고 적극적으로 세상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유일한 인물은 노리아키다. 가세 료는 “요즘 세태가 사람이 사람과 마주 보고 만나는 걸 점점 꺼린다. 다른 주인공들과 달리 노리아키는 적어도 현실과 마주 보려는 의지를 갖춘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70살의 노감독은 영화를 통해 어떤 설명도, 결론도 내리지 않는다. 109분의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세 인물이 겪는 하루의 궤적을 그저 좇을 뿐이다. 그러다 가장 역동적인 한 장면으로 덜컥 끝내 버린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