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재미있는 ‘甲의 캐릭터’ 조금 무거운 메시지

‘남쪽으로 튀어’의 최해갑(김윤석)을 요즘 유행어로 표현하자면 ‘돌직구형’ 인간이다. 사회의 짜여진 틀을 거부하고, 부당한 것이 있다고 생각되면 국민임을 기꺼이 포기하는 무정부주의자다. 식당에서 올림픽 국가대표 축구 경기를 보며 열광하는 손님들을 향해 “뭔 놈의 애국심이 4년 만에 돌아오냐”며 TV를 꺼버리는 그는 괴팍하고 독특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뭔지 모를 통쾌함과 대리 만족을 느끼게 하는 묘한 매력도 있다.



이처럼 ‘남쪽으로 튀어’는 이 시대의 ‘갑’을 자처하는 최해갑과 그의 가족이 벌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학 시절 별명이 ‘최게바라’일 정도로 열혈 투사였던 최해갑은 40대 중반의 나이에 아이를 세 명이나 두고 있는 가장이지만 여전히 자신의 소신을 버리지 않는다. 전기세 고지서에 보지도 않는 TV 수신료가 들어 있어서 못 내겠다며 거부하고, 일거수일투족을 감시당할 수 없다면서 동네 골목의 CCTV 카메라를 부수기도 한다.

초반부터 최해갑의 캐릭터를 따라가다 보면 그동안 당연히 여기며 살았던 것에 대한 의구심이 스멀스멀 생겨난다. 특히 그는 자녀 교육에 있어서 많이 배울 필요도 없다면서 학교에 보내지 않는 방목형 원칙을 고수한다. 사회의 정해진 틀 속에서 아등바등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을 살아가는 새로운 가능성도 제시한다.

제멋대로 살아가던 최해갑은 어느 날 고향 후배로부터 조부가 마을 주민들에게 내놓은 땅을 국가가 국유지로 귀속시켰고, 지역 출신 국회의원이 섬 개발 허가를 내줘 섬이 파괴될 위기에 놓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분개한 그는 아내 안봉희(오연수)와 가족을 모두 데리고 섬으로 향한다.

일본의 베스트셀러 작가인 오쿠다 히데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이야기의 설정과 캐릭터만 빌려오고 구체적인 에피소드는 상당 부분 한국의 현실에 맞게 각색됐다. 영화 속 들섬은 제주도 강정 마을을 떠올리게 하고 돈과 권력에 물든 사회지도층과 개발만 우선으로 내세우는 자본주의에 대한 통쾌한 일침은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만든다.

영화에서 섬은 일상에서의 일탈과 권력에 대항하는 개인의 자유를 상징한다. 물론 철학적인 메시지는 좋지만 다소 무겁게 그려졌다는 단점이 있다. 따뜻한 가족 코미디도 아니고 작정하고 웃기는 블랙 코미디도 아닌 영화의 불분명한 색깔은 자칫 관객을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다.

최해갑의 캐릭터는 재미있지만 뒷받침하는 스토리나 에피소드가 다소 작위적이기 때문에 이야기가 하나로 모아지지 않아 다소 몰입도가 떨어진다. 제멋대로인 남편의 열혈 팬으로서 화염병을 투척하는 아내의 캐릭터는 독특하지만 워낙 최해갑 중심으로 극이 돌아가다 보니 인물들이 서로 융합되지 못하고 겉도는 느낌이 들어 아쉬움을 남긴다. 6일 개봉.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