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에 따라 이름을 꼭 적어 달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닉네임이나 아이디, 휴대전화 번호 뒷자리가 청취자의 이름을 대신해 방송을 탄다. 한 방송 관계자는 “아이디가 발음하기 난해한 것이라 당황하는 경우도 종종 있고, 한 DJ는 휴대전화 뒷자리가 ‘3535’로 끝나는 청취자의 사연을 소개하다 ‘사모님’이 보내셨다는 말로 오해받은 적도 있다”고 말했다.
노래를 내보내는 방식도 바뀌었다. LP시대에는 스튜디오 내에 턴테이블이 빠지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방송국마다 노래가 저장된 컴퓨터가 구비돼 있다. 예전에는 신청곡이 들어오면 PD가 자료실로 뛰어가 판을 찾고 이를 도와주는 직원까지 있었지만 요즘은 컴퓨터로 클릭 몇 번 하면 노래가 나간다. ‘밤그대’의 초대 DJ로 1960년대 진행을 맡았던 이성화 아나운서는 “PD가 판을 찾아 동분서주할 때면 애드리브로 진땀을 빼며 시간을 끌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웃었다.
특히 요즘은 ‘컬투쇼’처럼 라디오 스튜디오도 영상으로 공개되는 시대이고 라디오 작가에게는 감성적인 글솜씨 외에 홈페이지 운영 능력까지 요구된다. 10년차 라디오 작가 나승현씨는 “예전에 비해 요즘 라디오는 음악보다 토크가 중시되고 마치 TV를 귀로 듣는 것처럼 예능화된 경향이 짙어졌다”면서 “라디오는 기다릴 줄 알고 마음의 여유를 찾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즐기는 따뜻한 매체인데, 요즘은 실시간으로 반응의 호불호가 갈리다 보니 예전의 낭만은 다소 퇴색된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