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SNS로 접한 이야기에 스스로 부끄러워져
위로의 음표
타인의 고통에 공감, 모두의 행복으로 이어져
김윤아가 6년 만에 내놓은 솔로 4집 앨범 ‘타인의 고통’은 욕망과 부끄러움의 교차 지점에서 나온, 우리 시대를 향한 애가(哀歌)다.
●1년간 휴식하며 충전… 작사·작곡·편곡·프로듀싱까지 도맡아
1997년 록 밴드 자우림으로 데뷔한 뒤 밴드로 또는 솔로로 적어도 1~2년에 앨범 하나씩 강행군을 이어 왔다. 2013년 말 자우림 9집 이후에는 번아웃증후군이 불쑥 찾아왔다. “제 안에 아무것도 안 남은 기분이었어요. 그냥 놀았죠. 매일매일 재미있는 일을 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친구를 만나고, 여행을 다녔어요. 제 인생의 화양연화였다고 할까요. 1년 가까이 아무것도 안 하다 보니 어느새 노래를 만들고 싶다는 욕구가 커졌죠. 그런데 뉴스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다양한 세대들의 아픈 이야기를 접하다 보니 제 일상이 부끄럽기도 하고, 무대에서 즐거운 느낌으로 음악을 한다는 게 창피했어요. 그런 생각과 감정들이 이번 앨범에 담겼습니다.”
●상실·고독 담은 앨범… 타인의 아픔서 나아가 우리의 아픔 노래
지난해 말 목에 이상이 생기지 않았더라면 조금 더 일찍 만날 뻔했다. 이미 봄에 곡 작업을 시작했고, 가을쯤 앨범 윤곽이 나왔다. 앨범을 관통하는 단어로 수전 손태그의 ‘타인의 고통’과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일찌감치 떠올렸던 터다. 솔로 3집과 마찬가지로 작사, 작곡, 일부 클래식 부분을 제외한 편곡, 프로듀싱까지 도맡은 이번 앨범에서 김윤아는 내가 아닌 너의, 타인의, 나아가 우리의 아픔을 노래한다. 클래식 사운드가 전반부를, 밴드 사운드가 후반부를 흐르는 앨범에는 원래 2번 트랙과 한몸으로, 갈대밭을 스치는 바람을 담은 인트로를 제외하면 모두 9곡이 담겼다. 김윤아는 자신의 주변 인물을 모티브로 여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은지’를 가장 아끼는 트랙으로 꼽았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네 모든 향기는 회색이 되고 눈부시던 날카롭던 황홀하던 너는 일상의 건조함 속에 시들어 가겠지 타고 남은 회색의 재처럼.’(‘은지’)
앨범 전체적으로 상실로 인한 슬픔, 아련함, 안타까움, 고독이 진하게 배어 있다. 특히 ‘강’, ‘키리에’, ‘독’, ‘은지’, ‘타인의 고통’ 등이 그렇다. 또 물에 대한 이미지가 앨범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우리 사회에 큰 상실감을 안겼던 세월호 참사가 자연스레 떠오른다. 열린 해석을 김윤아는 바랐다.
“당연히 (세월호의) 영향이 있었겠죠. 하지만 저 스스로 제 노래에 대해 정의 내리고 싶지는 않아요. 제가 규정해 버리면 제 노래는 그런 노래, 저는 그런 사람이 돼 버리거든요. 음악은 그런 게 아닌 것 같아요. 듣는 분에 따라 개인적인 경험을 떠올리기도 하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고 봐요.”
●“세월호 영향 있었지만 듣는 사람에 따른 열린 해석 바라”
많은 이가 김윤아의 노래에 위로받았다고 이야기하지만 김윤아 또한 마찬가지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창작자는 다 똑같다고 생각해요. 대의명분으로 다른 사람을 위로하고 사회에 도움이 되려는 것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스스로 좋아서 작업하는 사람들이에요. 제게도 이런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었고 음과 단어를 쌓아 가는 과정들이 마냥 편안하지는 않았어요. 괴로웠지만 동시에 제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이기도 했죠. 위안이 됐다고 많이들 이야기하시는데 부끄러우면서도 기뻐요. 앨범에 담긴 그런 마음들이 저만 갖고 있는 게 아니라는 걸 거꾸로 확인한 셈이니까요.”
서정과 격정을 오가며 듣는 이의 사회적 감수성을 돋우는 김윤아는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은 혼자가 아닌 우리 모두의 행복으로 이어지는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어떤 사회적 상황이나 사건을 겪어서만이 아니라 이젠 그런 걸 생각할 타이밍이 아닌가 싶어요. 옆 사람에 대한 배려일 수도 있다고 봐요. 우리 사회는 너무 경쟁에만 치우쳐 있죠. 옆에 있는 애는 밟고 올라가야 하는 계단인 것 같고, 얘가 잘못되면 그 자리가 내 것이 될 거라는 생각을 하도록 교육받아요. 그래야 성공하고 효도하는 거라고 배우는데 도대체 누가 행복해질 수 있겠어요?”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