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100은 미국 내 대중성 지표로 여겨지는 차트다. 모든 음악 장르를 망라해 음원 판매량, 스트리밍, 라디오 방송횟수 등을 종합해 집계한다. 앞서 방탄소년단이 지난 18일 공개한 ‘러브 유어셀프 전 티어’는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 1위에 올랐다. 앨범차트 1위가 미국 등 전 세계에서 갈수록 두터워지는 ‘팬덤 파워’를 보여 주는 것이라면, 싱글차트 10위는 미국 대중이 방탄소년단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방탄소년단의 다음 목표는 핫100 정상이다. 앞서 빌보드의 문을 두드렸던 케이팝 선배들과 사뭇 다른 방탄소년단의 행보는 핫100 1위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앞서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핫100 7주간 2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마룬5에 밀려 정상은 밟지 못했다. 이후 발표한 신곡 순위도 점차 낮아졌다. 반면 방탄소년단은 지난해 10월 ‘DNA’를 핫100 최고 순위 67위에, 같은 해 12월 ‘마이크 드롭’을 28위에 올려놓은 데 이어 이날 ‘페이크 러브’를 10위에 안착시켜 떠오르는 스타임을 증명했다.
2009년에는 원더걸스가, 2016년에는 씨엘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영어 노래를 발표해 빌보드에 올랐지만 한국어 가사가 아니었다는 점이 방탄소년단과 달랐다. 방탄소년단은 한국어 가사를 고수하면서도 세계적 수준의 음악을 통해 미국 팬들의 마음까지 사로잡았다.
팬을 끌어모은 힘은 ‘진심’을 담은 이들의 음악에서 비롯됐다. 방탄소년단 음악은 팝 시장 트렌드를 읽은 음악 장르와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는 보편적 메시지의 융합이다. 이들은 데뷔 이래 연작 앨범을 통해 자신들만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 왔다. 멤버 전원이 참여한 가사를 통해 사회 이슈, 기성세대 비판을 다루는가 하면 ‘1Q84’, ‘데미안’ 등 문학작품에서 영감을 얻기도 했다. 이를 통해 언어와 국경을 넘어 밀레니얼 세대(미국에서 1982~2000년 사이에 태어난 신세대)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케이팝 칼럼리스트 제프 벤저민은 지난 28일 CNN 방송에서 “방탄소년단의 음악에는 언어를 넘어서는 메시지가 담겼다”며 “정치·사회적 이슈는 대중에게 친근한 아이템이 아님에도 이를 근사하게 전달할 방법을 찾았고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굳이 몰라도 받아들일 수 있게 했다”고 치켜세웠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