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가 케이블 시청률의 한계를 뛰어넘고 ‘응사앓이’를 양산하며 인기리에 종영했다.

‘응답하라 1994’는 1994년을 뜨겁게 달궜던 농구대잔치와 서태지와 아이들 등 당시 사회적 이슈와 문화를 깨알 같은 에피소드와 엮어내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극 초반에는 당시 시대를 재연하는 데 치중했지만 회를 더하며 나정(고아라)과 쓰레기(정우) 칠봉(유연석)의 삼각관계로 초점이 맞춰졌다.

종연 직전까지 의견이 분분했던 나정이 남편 김재준은 쓰레기였다. 어린 시절부터 친남매처럼 자라온 그들은 결국 ‘스파크’를 일으켰고 한 번의 이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 대한 여전한 사랑을 확인하며 결혼에 골인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며 7년 간 나정에 대한 변함없는 마음을 보여주던 칠봉이는 끝을 선택해야 했다.

나정이는 쓰레기와, 삼천포(김성균)는 조윤진(도희)과, 해태(손호준)는 첫사랑 애정이(윤서)와, 빙그레(바로) 역시 첫사랑 다이다이 선배(윤진이)와 사랑을 이뤘다. 칠봉이 또한 새로운 사랑을 예고하며 하숙집 친구들 모두의 마음이 채워졌다. 완벽한 해피엔딩이다.

‘응답하라 1994’의 첫 방송 당시 우리는 어색한 배우들과 마주해야했다. 정우를 비롯해 유연석, 김성균, 손호준, 바로, 도희까지 드라마에서 익숙지 않은 얼굴들이었다. 하숙집에서 처음 만난 그들만큼 시청자들도 처음 보는 배우들과 어색한 대면을 가졌다. 배우 고아라는 톱스타였지만 번개머리에 늘어난 티셔츠를 입고 걸죽한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그녀 역시 낯설기는 마찬가지였다.

서먹했던 그들이 하숙집에 함께 살면서 친구를 넘어 가족이 된 것처럼 시청자들도 하숙생들과 친해지며 함께 웃고 울었다. ‘신촌 하숙’에는 각 지역의 욕이 난무했지만 그 속내는 사랑이었다. 촌스럽도록 뜨거웠던 1990년대를 같이 보내며 이들은 함께 성장했고 어른이 되었다. 그리고 그들의 우정은 2013년에도 여전히 응답한다.

우리가 ‘응답하라’에 열광했던 이유는 1994년 그때 그 시절에 대한 향수와 흥미진진했던 ‘나정이 남편 찾기’만으로는 부족하다. 2013년, 더 이상 하숙집이 아닌 원룸에서 살아가는, 현재를 사는 우리들은 잃어버린, 사람과 사람 사이의 끈끈한 ‘정’ 아닐까.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