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래는 타이~미얀마 철도 건설 현장 근처의 수용소에 감시원으로 배속됐다. 전쟁에 참여하는 것보다는 나은 선택이었다. 그러나 익숙하지 않은 열대 기후와 열악한 환경 탓에 많은 포로들이 목숨을 잃고, 전쟁이 끝난 뒤 감시원들은 가혹한 노동 강요와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범 판결을 받는다. 조선인 포로감시원 129명은 BC급 전범이라는 낙인을 받았고 그중 12명이 사형당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묵묵부답이다. 전쟁이 끝나도 오명을 쓴 채 조국에 돌아오지 못한 이들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그들의 이야기를 찾아간다.
8일에는 2편 ‘1937, 난징의 기억’, 15일에는 3편 ‘히로히토와 종전조서’를 방영한다. 22일에는 4편 ‘망각하는 나라, 속죄하는 나라’를 통해 전범 국가인 독일과 일본을 집중 비교한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