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턱 관절은 하루 평균 2400~3000번을 움직인다. 음식물을 씹을 때는 40~80㎏, 어금니를 꽉 물거나 이갈이를 할 때는 무려 120~150㎏의 엄청난 무게를 견뎌내야 한다. 또 턱의 근육은 12쌍의 뇌신경 중 9쌍이 지나갈 정도로 민감한 부위다. 턱 관절 질환은 그냥 그러려니 하거나 주변 사람과 함께 웃고 넘길 일이 아니다. 말하고, 음식 먹을 때마다 살얼음판 걷듯 조심스러워하고 자신감까지 떨어진다. KBS1TV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는 밤 10시 턱 질환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본다.
턱 질환을 부르는 주요한 원인은 다름 아닌 작은 생활 습관이다. 이를 악물거나 한쪽으로 음식을 씹는 행위, 턱을 괴거나 이를 가는 습관 등이 턱 질환을 부르는 나쁜 습관들로 꼽힌다.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관절의 윤활유를 만드는 활막세포의 소멸이 빠르게 진행돼 활액 생산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턱 관절에 악영향을 끼친다. 또 턱 질환의 주원인인 이갈이와 이 악물기 또한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관통’ 또한 심각하다.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인 발통점을 눌렀을 때 발통점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까지 통증을 느끼는 것이 바로 ‘연관통’이다. 치통, 두통, 어깨 통증 등 턱과 떨어진 부위의 연관통으로 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지 못하고 치료 시기를 놓쳐 병을 키우게 되는 일이 다반사다. 턱이 보내는 이상 신호를 간과하고 치료 시기를 놓친 이들의 이유 있는 변명까지 담아 반면교사로 삼고 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