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장인들은 중국산 저가 구두와 대량생산 기성화, 값비싼 수입 명품 구두의 홍수 속에서 수작업을 고수한다. 수제 구두는 한 켤레를 완성하는 데 평균 7일이 소요될 정도로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가죽 원단을 자르고, 밑창 틀을 만들고, 가죽으로 형태를 만들어 꿰매고, 망치를 두드리는 일이 끊임없이 반복된다. 기술자들은 하나같이 굳은살이 박이고 거친 손을 가졌지만, 그들의 손끝에서 탄생하는 구두는 그야말로 예술 작품에 가깝다.
경력 55년의 장인이 있는 한 공장에서는 남성 구두를 만든다. 남성화는 여성화에 비해 크기도 크고 무게도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가죽도 두꺼워서 제작하는 데 힘든 점이 많다. 튼튼하고 아름다운 구두를 만들기 위해 한땀 한땀 바느질을 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기법으로 세상에 하나뿐인 디자인을 창조해 낸다. 무두질한 가죽처럼 단련된 손으로 쉼 없이 정직하게 구두를 만드는 이들의 하루를 소개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