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오족 여성인 짜오라이(40)도 그의 어머니가 걸었던 길을 그대로 걷고 있다. 시집오기 전까지 집안일을 거들다 시집 오면서부터 한 가정의 생계를 책임졌다.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농사를 짓고 아이들을 챙긴다. 관광객들에게 팔기 위한 자수 제품도 만든다. 완성된 자수 제품은 외국에서 찾아온 트레킹족들이 머무는 작은 고산도시 사파까지 몇 시간을 걸어가서 판다.
시집 오자마자 3남 1녀를 낳아 키우며 20년 넘게 고단하게 살아왔지만 그녀에게 남은 건 집 지으며 떠안은 빚과 결혼을 앞두고 있는 아들, 그리고 여전히 생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남편뿐이다.
아들이 셋이나 있지만 이 녀석들도 별 볼일 없다. 어머니와 함께 가족 부양의 책임을 다하는 건 둘째인 딸 판따라다. 판따라도 철이 들 무렵부터 어머니의 장삿길을 따라나섰다. 올해 열여덟, 내년쯤이면 결혼을 해야 하는 나이다. 판따라가 시집가고 나면 이 집안의 생계는 어머니 혼자 책임져야 한다. 어머니는 자신과 같은 인생을 살아갈 딸이, 딸은 혼자 남겨질 어머니가 안타깝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