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황교익은 어느덧 세차례 ‘수요미식회’ 소재로 선정된 떡볶이에 대해 “또 하냐”면서 “떡볶이라는 음식은 사실 양념 맛으로 먹는 거다”라고 말해 ‘수요미식회’ 패널들의 반발을 샀다.
황교익은 “떡볶이 국물에 튀김도 찍어 먹고, 김밥도 찍어 먹고, 밥도 비벼 먹고, 다 하지 않냐. 사실 떡볶이는 짜고 매운 맛이 포인트다”라고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이해영 감독과 홍신애는 “달고 짜고 매운 맛의 조화다”라고 반박했고, 이원석 감독 역시 “모든 기본적인 맛이 다 혀에 느껴진다”고 거들었다.
그러자 황교익은 “저도 떡볶이를 먹으면 끊임없이 먹게 된다. 떡볶이 맛의 포인트는 달고 맵고 짠맛에 있다”면서도 “우린 많이 먹게 하는 음식이 맛있는 음식이라는 착각을 가끔 한다”고 말을 이어갔다.
그는 “단맛은 입맛을 당기게 한다. 매운 것은 통각인데, 통각을 잊게 만들기 위한 호르몬이 분비된다. 몸에 고통을 줘서 행복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전략인 거다. 계속 먹게 만드니까 떡볶이는 맛없는 음식이다”라고 설명했다.
황교익은 “그리고 한국 사람들이 떡볶이를 좋아하는 이유는 유아기 때 흔히 주어졌던 음식이기 때문”이라며 “1960년대부터 떡볶이가 조금씩 움트기 시작하는데, 그 당시 우리나라는 쌀이 부족했다. 값싼 밀가루를 수입해 먹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시대적 배경을 전했다.
이어 “무미일이라고 해서 수요일, 토요일 등 쌀을 먹지 않는 날이 법으로 정해져 있었다. 가장 값싸게 주어지는 한 끼의 음식이기 때문에 번져나간 것이다”라며 “떡볶이밖에 먹을 수 없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떡볶이는 맛있는 음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경미 감독이 “요즘 아이들 중 떡볶이를 좋아하는 아이들도 있지 않냐”고 반박하자 황교익은 “엄마가 좋아하면 아이들도 좋아하게 돼 있다”고 응수했다.
이를 듣고 있던 이해영 감독은 “반론하고 싶다”며 “추억, 한국인이 좋아하는 맛이라는 코드를 떼어놓은 채 순수한 맛만으로 떡볶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게 저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떡볶이는 어떤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맛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하필 우리 떡볶이를 먹어야 하느냐고 묻는다면 이 맛을 가진 건 우주에 떡볶이밖에 없기 때문이다”라고 떡볶이 예찬론을 펼쳤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