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의 세포들 유미의 세포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8/SSI_20211018015354_V.jpg)
1990~2000년대 ‘국민 시트콤’들을 써낸 송재정 작가는 20년 전 작품이 인기인 데 대해 “너무 신기하다”는 반응이었다. 최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다시 시트콤을 찾는 걸 보면 시청자들이 20~30분 길이의 웃음을 주는 드라마를 원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송재정 작가 송재정 작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8/SSI_20211018015430_V.jpg)
코미디 프로그램 작가로 데뷔한 그는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2000~2002), ‘똑바로 살아라’(2002~2003), ‘거침없이 하이킥’(2006~2007) 등 스테디 셀러들을 써냈다. 이후 드라마에 매진해 ‘인현왕후의 남자’(2012),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2013),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2018~2019) 등을 집필했다.
최근에는 화제작 ‘유미의 세포들’의 드라마화를 추진해 크리에이터로 대본에 참여했다. “시트콤을 너무 하고 싶을 때 만난 작품”이라고 설명한 송 작가는 “그동안 심각한 작품들을 하다 보니 시트콤에 대한 갈증이 있었고, 우연히 원작 웹툰을 보고 딱이라고 여겼다”고 했다. 시트콤처럼 한 에피소드를 20분 분량으로 썼고, 세포들의 코미디와 일상 이야기를 조화시켜 드라마의 매력도 잡았다.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8/SSI_20211018015417_V.jpg)
‘사랑의 불시착’의 박지은 작가, ‘한 번 다녀왔습니다’ 등을 쓴 양희승 작가 등 스타 작가들 중 시트콤 출신이 많다고 덧붙인 송 작가는 “매일 성실하게 고강도 노동을 소화한 창작자, 제작진의 누적된 힘이 요즘 더 빛을 보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대작이 쏟아지는 요즘, 이럴수록 노림수 대신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것도 베테랑 작가의 조언이다.
![거침없이 하이킥 거침없이 하이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8/SSI_20211018015450_V.jpg)
![순풍 산부인과 순풍 산부인과](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8/SSI_20211018015508_V.jpg)
한국 특유의 감성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단순히 재밌는 스토리텔링이 아닌, 감정이 강하게 들어가 몰입도를 높이는 것이 우리나라 작품들 특성”이라며 “좀비, 타임 슬립(시간 여행), 데스 게임 등 어떤 장르든 서사와 정서가 있는 게 해외에서 신선하게 받아들여지는 듯하다”고 해석했다. 그는 ‘유미의 세포들’을 끝내는 대로 ‘피냄새 나는 장르물’을 후속작으로 작업에 들어간다고 귀띔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