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비난 발언에 최고위원직 사퇴를 밝힌 주승용 최고위원(왼쪽)이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표의 만류를 뿌리치고 퇴장하고 있다. <br>연합뉴스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정청래 위원에 자숙 요청” 뭐라고 했기에? 당시 상황보니

‘정청래 최고위원회의 출석 정지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대표가 읍참마속 심정으로 정챙래 위원의 자숙을 요청했다. 이는 직무정지를 추진하겠다는 초강수로 풀이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3일 ‘공갈 막말’ 발언으로 주승용 최고위원의 사퇴를 촉발한 정청래 최고위원에 대해 “정청래 최고위원은 당분간 자숙의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정청래 최고위원에게 자숙을 요청했고 본인도 동의했다”고 읍참마속 심정을 밝혔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며칠 동안 당의 규율과 기강을 위해 많은 생각을 했다. 읍참마속 심정으로 많은 분들의 의견도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청래 최고위원의 자숙이 당의 단합과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지난 8일 돌발 사퇴를 선언한 주승용 최고위원에 대해서도 “가급적 빨리 최고위 업무에 복귀해 당 정상화 및 단합에 앞장서주길 정중히 요청한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표는 또 “재보선 패배의 아픔이 이어지고 있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대해 국민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거듭 사과했다.

이날 공식 회의장에는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만 참석, 공개발언을 했다.

그러나 회의 직후 정 최고위원이 기자들과 만나 “가급적 공개발언을 자제하되 최고위원회의에는 참석하겠다”고 밝히자 자숙이 미흡하다는 판단에서 정 최고위원이 퇴장한 뒤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다시 거쳐 초강수 방침을 결정했다.

문 대표는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대표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다시 한번 최고위원들의 논의를 거쳐 분명히 밝히겠다”며 정 최고위원에 대해 “최고위원회의 출석을 정지시키겠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최고위 출석정지 결정 배경에 대해 “정 최고위원은 분명한 자숙이 필요하다”며 “본인도 자숙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는데, 스스로 밝힌 자숙의 내용이 미진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정청래 의원이 주승용 의원을 향해 “최고위원직 사퇴할 것처럼 해놓고 공갈치는 게 문제”라고 공격했다. 이에 주승용 의원은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한 뒤 자리를 박차고 나간 바 있다.

한편 고사성어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공정한 업무 처리와 법 적용을 위해 사사로운 정을 포기함을 의미한다.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문재인 읍참마속 심정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