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외교부는 12일 정부가 지난 4월 미국 군(軍) 연구소에서 부주의로 살아있는 탄저균이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로 배송된 사고와 관련해 한미 합동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이날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SOFA(주한미군 주둔군 지위협정) 합동위 산하에 양측 관계부처 및 기관의 전문가들이 폭넓게 참여하는 합동실무단을 11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실무단장은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이 맡으며 외교부와 국방부를 비롯해 질병관리본부, 관세청 등 방역과 통관을 담당하는 부처들도 폭넓게 참여한다. 법률과 미생물을 다루는 민간 전문가도 포함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그 동안 소파 합동위 산하 개별 분과위에서도 이 문제를 다뤄왔지만 종합·체계적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무단을 구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합동실무단은 사고가 발생한 주한미군 오산기지 검사실을 이달 중 방문해,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한편 ‘공포의 백색가루’로 불리는 탄저균은 생물학 테러에 흔히 쓰이는 병원균으로, 전염성이 높고 맹독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죽거나 비활성화된 상태로 옮겨야 한다.

지난 2001년 미국에서는 탄저균이 우편을 통해 정부와 언론에 전달돼 집배원과 기자, 병원직원 등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사진 = 서울신문DB (한미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