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표절 논란’

소설가 겸 시인 이응준은 16일 한 온라인 매체에 신경숙 작가의 ′오래전 집을 떠날 때′ 가운데 수록된 단편 ′전설′의 한 대목이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 우국, 연회는 끝나고′의 구절을 그대로 따온 표절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신경숙에 관한 표절 시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논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1999년 한 매체에서 문학동네 99년 여름 호에 실린 신경숙의 소설 ′딸기밭′ 일부가 재미 유학생 안승준 씨의 유고집 ′살아있는 것이오′(삶과 꿈)에 실린 아버지 안창식 씨의 글을 차용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신경숙은 “′딸기밭′을 보면 가수의 노랫말이나 라디오 프로그램 멘트가 출처 없이 인용되는데, 그 편지 역시 그 차원에서 내 소설 속에서 용해될 수 있을 거라는 소박한 생각을 했고, 또 소설화되면서 맥락이 달라져 유족에게 누를 끼치면 어쩌나 하는 마음이 앞서 굳이 출처를 밝히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같은 해 문학평론가 박철화 중앙대 교수는 작가세계 00년 가을호에 ′여성성의 글쓰기, 대화와 성숙으로′에서 신경숙의 장편 ′기차는 7시에 떠나네′와 단편 ′작별인사′가 각각 프랑스 소설가 파트릭 모디아노와 일본 소설가 마루야마 겐지의 작품을 표절했을 의심이 든다고 밝히기도 했다.

당시 신경숙은 외국작가 표절 주장에 대해 “터무니없다”고 반박한 바 있다.

신경숙 표절 논란, 신경숙 표절 논란, 신경숙 표절 논란, 신경숙 표절 논란, 신경숙 표절 논란 신경숙 표절 논란

사진 = 서울신문DB (신경숙 표절 논란)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