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빈소에 김 전 대통령 영정사진이 놓여 있다. 2015.11.22. 사진공동취재단
김영삼 서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으로 결정됐다. 장의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로 결정됐으며, 장지는 국립현충원에 마련된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 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국가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확정된다.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국무회의를 열어 김영삼 전 대통령 장례를 국가장으로 거행하는 건을 심의했다”며 “심의된 안건은 최종 결재권자인 대통령의 결재를 받아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장례위원회 위원장은 그동안의 관례와 유족의 의견을 존중해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고 장례집행위원장은 행정자치부 장관이 맡아 주관하게 된다”고 전했다.

정 장관은 “장례 명칭은 ‘고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으로 하고 장례기간은 5일장으로 22일부터 26일까지”라며 “영결식은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안장식은 영결식 종료 후 국립 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0시22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으로 숨을 거뒀다. 부인 손명순 여사와 아들 현철 전 의원 등 가족이 자리를 지킨 것으로 알려졌다.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은 이날 오전 2시 브리핑을 열고 “고인은 과거 반복적인 뇌졸중과 협심증, 폐렴으로 수차례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 직접적인 사망 사망 원인은 쇠약한 전신 상태에서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이 겹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사진 = 서울신문DB (김영삼 서거)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