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어로’는 기발한 이야기를 가진 영화다. 어느 영화 감독이 “이런 영화를 떠올리지 못하다니 아쉽다”며 공공연히 농담 섞인 부러움을 나타냈을 정도다. 그러나 ‘히어로’는 발랄하고 따뜻한 이야기의 장점을 거의 살리지 못한다. 가장 큰 문제는 가족 관객을 대상으로 한 영화가 아이와 어른 중 어느 쪽도 만족시키기 어려워 보인다는 점이다. 아이에게 영화의 웃음 코드는 낯설고, 어른에게 이야기는 지나치게 작위적이다. 장르적 특성으로 이야기의 빈틈을 어느 정도 용인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우연의 남발은 관객의 몰입을 방해할 만큼 심각하다.
웃음과 울음, 코미디와 드라마 사이에서 갈피를 못 잡는 것도 마찬가지다. 웃음을 유발하려는 상황은 과장돼 있다. 미용실에서 일하는 세영이 ‘헤어샵’에서 일한다며 잘난 척을 하고, 감옥에서 출소한 영탁(박철민)이 두부를 우물우물 삼키다 “유전자 조작 콩인가보다”며 내뱉는 식이다. 관객을 감동으로 몰아가는 힘도 부친다. 영화 속 대사처럼 ‘히어로’는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에 이야기를 빚지고 있지만 영화의 호흡은 관객이 아버지의 고군분투에서 ‘마지막 잎새’의 감동을 느끼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다. B급 영화의 정서를 가지고 있다고 마냥 옹호하기에는 이 영화만의 개성이 뚜렷이 드러나지도 않는다. 영화에서 유일하게 진지하고 빛나는 것은 오정세의 연기이지만 그나마도 영화의 만듦새에 빛이 바랬다. 김봉한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99분. 8일 개봉. 전체 관람가.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