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자주 다루는 이유가 있나.
-어렸을 때부터 TV 홈드라마를 좋아했던 영향이 크긴 할 테지만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 ‘왜’라는 질문을 받으면 무척 대답하기 어렵다. 왜 이런 것을 만드는지 생각하고 만드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이유를 만들 수도 있지만 그런 대답은 거짓말이 될 것 같다. 좋아하는 데는 이유가 없으니까.
→이번 작품에 개인적인 경험이 들어 있나.
-꽤 많다. 예를 들면 료타가 카메라에서 아들이 자신의 모습을 찍은 사진을 발견하는 장면이 있다. 나도 휴대전화를 보다가 딸이 내 잠든 모습을 찍은 것을 발견하고 굉장히 충격받은 적이 있다. ‘내가 잠든 모습만 보여 주고 있구나, 그래도 아이는 내 모습을 지켜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딸이 그 사진을 통해 나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내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했다.
→영화에 아이를 자주 등장시킨다.
-내 영화에는 크게 두 가지, 죽은 사람과 아이가 있다. 죽은 사람은 화면 밖에서, 아이는 화면 안에서 어른들을 ‘비평’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분석일 뿐이고 찍을 때 가장 재밌고 즐겁다는 게 거짓 없는 대답일 것 같다. 영화의 신선도를 위해서도 아이들이 있는 게 훨씬 도움이 되고 즐겁다. (분석과 느낌 중) 어느 쪽 대답이 마음에 드나?(웃음)
→비전문 배우와 많은 작업을 하는데.
-후쿠야마 마사하루도 본업은 가수고, 상대편 아버지로 나오는 릴리 프랭키도 원래는 일러스트레이터다. 혼자서 다 해내는 사람보다는 그냥 그대로, 그 모습 그대로 있어 주는 사람이 훨씬 좋다. 아이들에게도 대본은 주지 않는다. 현장에서 귓속말로 ‘이 사람이 네 아빠 역할이고 이렇게 얘기할 거니까 너는 이렇게 얘기해’라고 속삭이는 정도다. 친아들로 나오는 아이도 영화에서처럼 평소에 ‘왜’, ‘오 마이 갓’ 같은 말투를 자주 사용한다. 내 역할은 아이들이 하던 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오른쪽으로 고개 좀 돌려봐’ 같은 말은 전혀 하지 않는다.
→일상의 아름다움을 예민하게 포착하는데, 아름다움을 느낄 때는 언제인가.
-간과하기 쉬운 디테일 속에 아름다움이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이번 영화에는 목욕이 끝난 아이들이 복도를 달려 나가면 부모가 수건으로 닦아 주는 장면이 있다. 어느 집에서나 있을 만한 풍경이지만, 그런 일상적인 시간이 갑자기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특별한 순간이 되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그 장면을 찍고 나서 스스로도 좋은 장면이라고 생각했다.
→많은 영화의 결말이 희망적이다.
-끝이 싫은 영화는 만들고 싶지도, 보고 싶지도 않다. 영화를 보고 나서 후회할 만한, 사람을 신뢰하지 못할 만한 영화는 만들고 싶지 않다.
→영화를 만들면서 즐거운 점은.
-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각본에는 없는 어떤 상황이 발견되거나 배우가 예상치 못한 연기를 보여 줄 때, 편집 중에 각본과 다르게 장면이 연결되거나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을 발견할 때 가장 즐겁다. 나에게는 생각했던 대로 영화를 만드는 기쁨보다 생각지도 못했던 것과 조우할 때 느끼는 기쁨이 더 큰 것 같다.
부산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