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나 다를까. 영화는 서울 방송국으로 복귀하고자 무던히 애쓰는 주인공의 욕망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영화의 관심은 크게 영화 속 죽음들을 둘러싼 미스터리와 주조연이 8명이나 되는 캐릭터들 중 두세 인물의 사연들에 맞춰져 있다.
미스터리에 초점을 맞추는 순간 영화는 그야말로 데드 엔드에 빠지고 만다. 미스터리의 핵심인 살인자의 정체를 일찌감치 그다지 어렵지 않게 확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심심함과 맥빠짐이란 김빠진 맥주의 맛이랄까. 뿐만 아니다. 연기도 대체적으로 성기며, 음악도 지나치게 멜로드라마 톤으로 연출돼 미스터리 장르 특유의 긴장감을 안겨 주지 못한다. 미스터리 스릴러로서 영화는 ‘막다른 지경’에 빠지고 만다.
이 실패한 미스터리를 구원하는 것은 뜻밖에도 위 사연들이다. 주연 아닌 조연들, 즉 심마니 주범(김영웅)과 주범의 스승 순삼(우상전)의 의붓딸 순이(오이나), 그리고 무녀 연무(황석정)와 관련된 드라마틱한 사연들. 그 사연들이 더러는 상투적이고 최루성이긴 해도 드라마에 감흥과 나아가 반전의 맛까지 덧입힌다. 그 사연들과 함께할 때는 음악 연출도 효과적이다.
예상치 못했던 영화의 강렬한 임팩트는 순이의 사연과 순이를 연기한 신예 배우의 매혹적 이미지 연기에서 연유한다. 크고 작은 미덕들 덕에 자칫 총체적 실패작으로 추락했을 법한 영화가 절반의 성공작으로 비상했다. 흥미롭지 않은가. 14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영화평론가 전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