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방송통신위원회 올해의 대상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다큐멘터리가 조작 연출에 의한 사기임이 드러나 지방으로 좌천된 피디(김민준)가 있다면, 그가 해야 할 일은 자명하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서울로 되돌아가는 것. 충북 미치리라는 마을에서 절호의 촬영 거리를 찾아 동분서주하는 정 피디에게 기막힌 아이템이 제시된다. 다름 아닌 ‘백년 산삼’. 그 마을에선 100년을 주기로 ‘100년 소망’이 이뤄진다는데, 전직 심마니였던 산삼 중개인 박 사장(최준용) 왈 “때마침 그해”란다. 정 피디는 돈에 혈안이 된 박 사장의 말을 반신반의하지만 끝내 그 유혹에 굴복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이래저래 선택의 여지가 없는 ‘막다른 길’, 즉 데드 엔드(dead end)에 처해 있는 탓이다.

‘어느 피디의 궁지 탈출기’로 갔더라면 영화는 그를 축으로 펼쳐지는 한바탕 코믹 드라마로 흘렀을 터. 하지만 영화는 전혀 다른 노선을 걷는다. 때론 코믹하긴 해도 주된 톤은 미스터리이자 스릴러인 휴먼 드라마로. 그 점에서 오프닝 크레디트 한글 제목 아래 병기된 영어 제목이 눈길을 끈다. ‘Dead End’가 아니라 ‘DEAD AND’가 아닌가. 주인공의 곤경을 넘어 영화에서 살인이 벌어질 것이며 따라서 ‘죽음, 그리고’를 보여 주겠다는 감독의 야심을 짐작하게 하는 의도적 오류요, 트릭인 셈이다.

아니나 다를까. 영화는 서울 방송국으로 복귀하고자 무던히 애쓰는 주인공의 욕망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영화의 관심은 크게 영화 속 죽음들을 둘러싼 미스터리와 주조연이 8명이나 되는 캐릭터들 중 두세 인물의 사연들에 맞춰져 있다.

미스터리에 초점을 맞추는 순간 영화는 그야말로 데드 엔드에 빠지고 만다. 미스터리의 핵심인 살인자의 정체를 일찌감치 그다지 어렵지 않게 확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심심함과 맥빠짐이란 김빠진 맥주의 맛이랄까. 뿐만 아니다. 연기도 대체적으로 성기며, 음악도 지나치게 멜로드라마 톤으로 연출돼 미스터리 장르 특유의 긴장감을 안겨 주지 못한다. 미스터리 스릴러로서 영화는 ‘막다른 지경’에 빠지고 만다.

이 실패한 미스터리를 구원하는 것은 뜻밖에도 위 사연들이다. 주연 아닌 조연들, 즉 심마니 주범(김영웅)과 주범의 스승 순삼(우상전)의 의붓딸 순이(오이나), 그리고 무녀 연무(황석정)와 관련된 드라마틱한 사연들. 그 사연들이 더러는 상투적이고 최루성이긴 해도 드라마에 감흥과 나아가 반전의 맛까지 덧입힌다. 그 사연들과 함께할 때는 음악 연출도 효과적이다.

예상치 못했던 영화의 강렬한 임팩트는 순이의 사연과 순이를 연기한 신예 배우의 매혹적 이미지 연기에서 연유한다. 크고 작은 미덕들 덕에 자칫 총체적 실패작으로 추락했을 법한 영화가 절반의 성공작으로 비상했다. 흥미롭지 않은가. 14일 개봉. 청소년 관람 불가.

영화평론가 전찬일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