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 것 없는 종대의 모습을 어떻게 설득력 있게 그릴 것인지가 고민이었어요. 꼭 비주얼을 망가뜨린다기보다는 적어도 호기심을 일으킬 정도로는 표현되고 싶었죠. 그래서 스태프들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거지 같은 옷을 골라 입고, 헤어스타일도 더벅머리로 했어요.(웃음)”
“당시 몇 천원에 불과하던 강남 땅은 지금 수천배가 올랐어요. 사실 그 시절 종대가 잡은 기회조차도 아마 소수의 사람들 말고는 몰랐을 거예요. 종대는 단순히 돈에 미쳐 있다기보다 가족과 지낼 따뜻한 집과 소박한 밥 한 끼가 필요했고, 돈은 그런 의식주를 해결하는 수단이었죠. 영화를 통해 마주한 70년대는 평범하게 사는 것조차 힘든 시기였어요.”
전작 ‘비열한 거리’에서 돈이 폭력을 소비하는 과정을 그린 유하 감독은 이번에는 권력이 폭력을 소비하는 방식을 그린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 해당하는 진흙탕 액션 장면을 비롯해 삽, 우산 등이 등장하는 액션 장면은 상당히 표현 수위가 높다. 결핍되고 뒤틀린 청춘을 표현하기 위해 기존과는 다른 연기가 필요했다.
“달달한 대사, 다소 과장된 면이 통하는 드라마와 달리 영화는 2시간 안에 꾸밈없이 굵직하게 표현해야 하니까 더 어려웠어요. 물론 ‘꽃보다 남자’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센 캐릭터를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일부러 남성성만 강조한 것은 아니에요. 종대는 감정을 폭발시켜 내면에 간직하고 사건이 진행될수록 다양한 면이 추가되기 때문에 캐릭터의 감정선을 살리는 데 초점을 맞췄죠.”
물론 극 중 인물과 같지는 않지만 그 역시 스무살 때 교통사고를 당하고 4년여 무명 시절을 겪었다. 그는 “병원에 누워 있으면서 28년간 할 생각을 다했던 것 같다. 아무것도 없던 그때는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다”고 말했다.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다루는 영화가 쉬울 수 없지만 감독에 대한 신뢰로 출연을 결심했다는 그다. 권상우, 조인성을 발탁했던 유하 감독 역시 “이민호는 영화배우로서도 화면 장악력이 좋다. 70년대 고전 미남으로도 통할 정도”라고 화답했다.
“70년대 미남이라면 지금은 물론 그 시대에 갖다 놔도 어울린다는 얘기니까 좋은 쪽으로 생각할래요.(웃음) 사실 저는 호불호가 갈리는 얼굴이라고 생각해요. 분명 제 얼굴을 느끼하고 촌스럽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테니까요.”
어디를 가든 구름 같은 팬들을 몰고 다니는 한류스타지만 스스로를 늘 객관적으로 보려 노력한다는 그의 주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번 영화가 미국, 일본, 중국, 태국, 홍콩 등 13개국에 판매된 데도 그의 힘이 크게 작용했다.
“해외에 나가면 대한민국 배우로 소개되고 제 말에 귀 기울이는 팬이 늘었을 때 책임감을 느껴요. 배우라는 직업은 팬이 있어야 생명력이 있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인기에 휘둘리는 순간 배우 본연의 가치를 잃게 된다고 생각해요. 먼 훗날 지금의 나를 추억하는 시간이 왔을 때 후회는 하지 말아야죠.”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