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적으로 이 영화는 야구를 소재로 한 스포츠 다큐로서 야구팬들에게 한국 야구의 초기 역사를 훑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야구 원년의 야구장 풍경과 오래된 중계방송 화면을 보는 재미, 친숙한 야구인들의 이름을 발견하는 기쁨도 크다. 때로는 유명 야구인들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가 밝혀지면서 놀라움과 충격을 안겨 주기도 한다. 웃음과 눈물의 완급 조절이 뛰어날 뿐 아니라 폭넓은 자료 수집 및 활용, 안정된 구성과 편집 등이 노련한 연출 감각을 보여 준다.
오랜 기다림과 노력 끝에 82년 멤버들이 한 명씩 모습을 드러낼수록 당시 그들이 가졌던 한국에서의 경험들은 점차 뚜렷해진다. 수십 년 만에 한자리에 모여 담소를 나누는 중년의 남성들에게서 고교생들의 개구진 눈빛과 표정이 역력하다. 좋은 경기로 큰 즐거움을 주었던 재일동포팀의 풋풋했던 시절 추억을 다시 맛보게 하고, 그 행복감을 카메라에 담아낸 것은 이 영화가 그들과 관객 모두에게 주는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인터뷰를 통해 밝히는 재일동포로서의 삶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로 살아왔다는 고백은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조선학교 럭비부원들의 이야기를 다룬 ‘60만번의 트라이’(2013)에서 등장했던 부당한 차별의 국면들이 이 영화에서도 공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갈등이 빚어내는 긴장감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살고 있는 이들의 모습은 우리에게 많은 숙제를 남긴다. ‘그라운드의 이방인’이라는 쓸쓸한 제목은 재일동포들의 외로움과 애환에 공감하고 격려를 보내기 위한 것이리라. 절정과 결말부의 남다른 열기가 오랫동안 가슴을 따뜻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19일 개봉.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