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재일동포 학생야구단’ 기억하나요

김명준 감독의 ‘우리학교’는 2007년 개봉해 공동체 상영까지 약 1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영화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작품이다. 이 영화는 그간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조선학교와 재일동포 2세들에 대한 정보와 감동을 전달함으로써 평단과 관객의 호응을 얻은 바 있다. ‘그라운드의 이방인’은 김명준 감독의 두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로, 역시 재일동포에 대한 그의 관심과 애정이 깊게 깔려 있다. 이번에는 1982년 잠실야구장을 누볐던 ‘재일동포 학생야구단’의 추억이 새록새록 펼쳐진다.

이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 1970~80년대 봉황대기 고교야구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연중 스포츠 행사였다. 82년 재일동포팀은 결승전까지 올라가 군산상고와 혈전을 치른 바 있다. 이 영화는 그 멤버들을 찾아내 다시 한번 잠실야구장에 세우겠다는 목표로부터 시작된다. 한때 재일동포와 맺었던 뜻깊은 교류가 역사 속에 잠들어 버릴 수 있다는 위기감과 작품에 대한 진정성이 30년 전 연락처로 사람을 찾아야 하는 험난한 과정, 의심의 시선 및 현실적 장벽 속에서도 이 다큐를 완성시킨 원동력이다.

기본적으로 이 영화는 야구를 소재로 한 스포츠 다큐로서 야구팬들에게 한국 야구의 초기 역사를 훑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야구 원년의 야구장 풍경과 오래된 중계방송 화면을 보는 재미, 친숙한 야구인들의 이름을 발견하는 기쁨도 크다. 때로는 유명 야구인들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야기가 밝혀지면서 놀라움과 충격을 안겨 주기도 한다. 웃음과 눈물의 완급 조절이 뛰어날 뿐 아니라 폭넓은 자료 수집 및 활용, 안정된 구성과 편집 등이 노련한 연출 감각을 보여 준다.

오랜 기다림과 노력 끝에 82년 멤버들이 한 명씩 모습을 드러낼수록 당시 그들이 가졌던 한국에서의 경험들은 점차 뚜렷해진다. 수십 년 만에 한자리에 모여 담소를 나누는 중년의 남성들에게서 고교생들의 개구진 눈빛과 표정이 역력하다. 좋은 경기로 큰 즐거움을 주었던 재일동포팀의 풋풋했던 시절 추억을 다시 맛보게 하고, 그 행복감을 카메라에 담아낸 것은 이 영화가 그들과 관객 모두에게 주는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인터뷰를 통해 밝히는 재일동포로서의 삶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로 살아왔다는 고백은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조선학교 럭비부원들의 이야기를 다룬 ‘60만번의 트라이’(2013)에서 등장했던 부당한 차별의 국면들이 이 영화에서도 공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갈등이 빚어내는 긴장감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살고 있는 이들의 모습은 우리에게 많은 숙제를 남긴다. ‘그라운드의 이방인’이라는 쓸쓸한 제목은 재일동포들의 외로움과 애환에 공감하고 격려를 보내기 위한 것이리라. 절정과 결말부의 남다른 열기가 오랫동안 가슴을 따뜻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19일 개봉.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