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없는 부모에 방치된 아이 당신이 구원할 자격이 있는가

영아를 춥고 더러운 곳에 방치한 채 밥도 제대로 주지 않는 전과자가 있다면, 그에게 계속 아이를 맡겨 두는 것은 옳은 일인가. 수잔 비에르 감독이 ‘세컨 찬스’에서 던지는 첫 번째 질문이다.


정의로운 형사이자 성실한 가장인 안드레아스에게 약에 찌들어 사는 트리스탄은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한심한 인간일 뿐이다. 심지어 그에게는 아이(소푸스)를 향한 어떤 애정도 느껴지지 않는다. 소푸스의 어머니인 산느는 강한 모성애를 갖고 있음에도 트리스탄의 폭력 때문에 아이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회는 아이를 이들에게서 격리시켜 ‘보호’해야만 할까. 부모 이외의 사람들이 이런 문제를 결정할 그 어떤 자격이 있다면 말이다.

수잔 비에르 감독은 많은 인물들을 등장시키는 대신, 주요 인물들의 대칭적 구조를 통해 주제를 강하게 부각시킨다. 안드레아스의 쾌적하고 아름다운 집은 낡고 더러운 트리스탄의 아파트와 완벽히 대비되며 두 집의 아이들이 처해 있는 상반된 처지까지도 대변한다. 그러나 그것은 표면적인 이미지일 뿐, 안드레아스의 집에서 포착된 작은 이상 징후는 급기야 모든 상황을 전복시킨다.

감독의 전작 ‘세레나’(2014)에서는 아이를 유산한 뒤 불안과 집착증으로 자멸하는 한 여성이 등장하더니, ‘세컨 찬스’에서는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가 히스테리로 발전해버린 심약한 안드레아스의 아내가 사건의 발단이 된다.

그러나 현대적 관점에서 병은 처벌이 아닌 치료의 대상이므로 이 영화는 명백하게도 인간이 극한의 상황에 처했을 때 얼마나 비상식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신의 아이가 죽자 그를 트리스탄의 아이와 바꿔치기한 안드레아스의 행동이 그것이다. 이것은 앞서 던졌던 영화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안드레아스의 대답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선택을, 방치된 아이를 자격 없는 부모들로부터 구원하기 위한 ‘선의’로 포장하고 정당화시킨다. 그러나 이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점차 포악해지는 안드레아스의 눈빛은 이미 그 어떤 범죄자들보다 더 야비하고 악랄하게 변해 있다.

‘세컨 찬스’라는 제목은 ‘슬라이딩 도어즈’(1998)에서처럼 만약 과거와 같은 상황이 벌어졌을 때 다른 길로 갈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가정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잘못된 판단과 선택이 벌여 놓은 사태를 지극히 현실적으로 봉합할 기회를 의미하는 것이다. 큰 충격으로 인한 정신적 공황 상태에서는 누구나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지만, 어지럽혀진 상황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 용기를 내는 사람은 드물다.

인간에 대한 선입견을 내려놓게 만드는 영화의 에필로그는 대단히 새롭다고 할 수는 없어도 충분히 감동적이다. 또한 안드레아스, 산느와 소푸스에게 허락된 찬란한 두 번째 기회는 시종일관 어두웠던 영화의 분위기를 밝혀 놓는다. 논쟁적이지만 냉소적이지는 않은 감독의 일관된 태도가 놀랍다. 11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